"내부통제 체계 책임, 이사회와 경영진에"
"전문성·도덕성 겸비한 경영진 선임은 이사회의 책무"
최근 대형 금융사고와 그에 따른 최고경영자(CEO)의 내부통제 기준 마련 의무에 대한 논란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금융감독원장이 은행지주회사 이사회 의장과 만나 내부통제 체계에 대한 이사회 차원의 노력을 주문했다. 또한 CEO 선임에서 공정성과 투명성을 요구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은 14일 은행지주 이사회 의장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각종 사고 발생으로 인한 손실 및 평판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은행지주그룹 전반의 내부통제 체계를 대폭 강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은행 내부통제에 관한 국제기준도 내부통제 체계를 갖춰야 할 책임은 이사회와 경영진에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금년 들어 금융권 전반에서 내부통제 미흡으로 인한 대형 금융사고가 많이 발생했는데, 앞으로 유사한 금융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이사회 차원에서도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우리은행의 역대 최대 횡령 사고를 비롯해 은행권 전반으로 번진 이상 외화송금 등 금융사고에 대해 이사회 차원에서 대응을 주문한 것이다.
내부통제에 대한 이사회 차원의 대응과 함께 이 원장은 CEO 선임 과정에서의 절차적 투명성과 공정한 프로세스를 당부했다.
이 원장은 "전문성과 도덕성을 겸비한 유능한 경영진의 선임이 이사회의 가장 중요한 권한이자 책무"라면서 "CEO 선임이 합리적인 경영 승계 절차에 따라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달부터 NH농협금융지주를 비롯해 내년 3월 우리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 등의 CEO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경영권 승계절차의 투명한 운영을 비롯해 선임 과정에서 도덕성 요건을 주문한 것이다.
금융당국과 은행지주 이사회 간의 간담회는 2015년부터 시작됐다. 다만 은행지주 이사회 의장과의 면담은 2018년이후 유명무실했으나, 이 원장 취임 이후에는 처음 열렸다.
이날 간담회에는 선우석호 KB금융 의장, 이윤재 신한금융 의장, 노성태 우리금융 의장, 백태승 하나금융 의장, 이종백 농협금융 의장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 또 '문책경고' 받은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의 선택은
- 금융위,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에 '문책경고' 의결
- 우리은행 "DLF 소송비용, 손태승 전 행장 개인부담으로 진행"
- [이슈분석]우리은행發 '내부통제기준' 소송 금융권 흔든다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DLF 소송' 끝장본다
- '중대 금융사고' 발생시 금융회사 최고경영자에 총괄책임 부과한다
- 금감원, 기업은행 임원 내부통제 책임 명시 요구
- 내부통제 개선 논의 와중에도 금융사고…국민銀 3건·농협銀 2건·우리銀 첫 무사고
- 농협금융지주 회장에 이석준 전 국무조정실장
- 하나금융, 자회사 수장 대폭 물갈이…하나은행장 이승열·하나증권 강성묵·하나카드 이호성
- 신한은행·DB생명·국민카드, 소비자보호 '양호'…KDB생명 '미흡'
- 우리은행, 내부통제 강화 위해 '본부감사부' 신설
- 또 터진 금융사고…국민은행, 120억원 '배임' 금융사고 발생
- 금감원장 "금리인하요구 수용 프로세스 적극 개선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