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톡·당근마켓·클래스101 등 대규모 투자유치 성공
독보적 기술·경쟁력 인증하며 글로벌 진출 발판 마련

[더블유스타트업 한동현 기자]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향상되면서 투자 규모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트업 지원 기관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 국내 스타트업 회사들이 받은 투자 규모는 총 4조3539억원이다. 지난해 총 투자 유치액인 3조3488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글로벌 창업투자사(VC)의 움직임도 국내 스타트업의 경쟁력을 뒷받침한다. 미국, 싱가포르, 일본, 중국 등 대형 자본력을 가진 글로벌 VC들이 유니콘 재목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 국내 스타트업 회사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해외 VC 투자 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글로벌 VC는 국내 투자사 만큼 깐깐하게 투자대상을 평가하기 때문에 투자유치 성공은 해외 진출을 꿈꾸는 스타트업에 좋은 버팀목”이라며 “국내 VC 자금만으로 후속투자를 이끌어내기에 한계가 있어 글로벌 VC의 투자유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올 하바니 시리즈 C 이상 투자 유치에 성공한 주요 스타트업들 중 글로벌 VC들의 투자로 몸집을 키운 곳이 많다.

해외 투자사가 채널톡, 당근마켓, 클래스 101 등을 주목하고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사진=채널코퍼레이션 제공
해외 투자사가 채널톡, 당근마켓, 클래스 101 등을 주목하고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사진=채널코퍼레이션 제공

◆‘채널톡’ 시리즈 C 투자유치

국내 기업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B2B SaaS) 스타트업 ‘채널코퍼레이션’은 지난달 280억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 유치에 성공해 누적 투자 규모 400억원을 달성했다.

2000년 국내 톱 티어 VC 3개사로부터 50억원 규모의 프리시리즈 C 브릿지투자를 받은 채널톡은 이번 투자에 리드 투자사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KB 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해 가디언펀드, 파빌리온 캐피탈, IMM 인베스트먼트, 본엔젤스, 라구나인베스트먼트 등 국내와 해외 유수의 VC, PE(장기투자 전문기구)들이 새롭게 합류하면서 비즈니스의 외연 확장과 해외 진출에 힘을 보탰다.

이 중에서도 파빌리온캐피탈은 테마섹 자회사로 에어비앤비, 알리바바, 텐센트 등에 투자한 바 있어 투자 대상을 고르는 안목이 높다고 평가 받는다.

채널코퍼레이션은 이번 투자를 통해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하는데 추진력을 얻었다. 채널톡은 현재 총 매출의 15%가 해외시장에서 발생했다. 일본 매출은 지난해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약 7배 증가했다.

◆국내 16번째 유니콘은 ‘당근마켓’

국내 대표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마켓’은 올 하반기 1789억원 규모의 시리즈 D 투자 유치에 성공해 국내 16번째 유니콘으로 이름을 올렸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기술을 접목한 ‘하이퍼로컬’ 산업을 선도하며 지역 생태계를 구축한 당근마켓은 이로써 총 2270억원의 누적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시리즈 D 투자는 해외 VC들의 투자가 주축이 됐다. 먼저 실리콘밸리, 뉴욕, 런던, 베이징, 홍콩에 거점을 둔 DST 글로벌이 리드 투자자로 참여했다. DST글로벌은 페이스북, 트위터, 그루폰 등의 투자자로 유명하다.

굿워터캐피탈, 소프트뱅크벤처스아시아 등 기존부터 함께해 온 글로벌 투자사들도 연속 투자를 단행해 당근마켓의 미래 가치를 입증했다.

◆클래스 101도 투자자의 관심 커

온라인 강의 플랫폼 클래스 101은 리드 투자사인 굿워터캐피털을 비롯해 기존 투자사 스트롱벤처스, KT 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캐피탈, 끌림벤처스로부터 300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유치를 받는 데 성공했다.

리드 투자사인 굿워터캐피털은 크리에이터와 수강생의 만족도를 동시에 채워주고 유튜브의 장점을 복합한 클래스 101의 미래 가치에 대해 높이 평가한 것으로 전해진다.

클래스 101은 미술, 운동, 공예, 드로잉의 취미활동뿐 아니라 부업 및 재테크 지식을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현재 2300여개의 클래스를 보유했다. 누적 회원수만 330만명 이상이다.

◆업스테이지, 투자 받고 글로벌 진출 가속화

기업의 인공지능(AI) 전환을 돕는 스타트업 업스테이지는 창업한 지 1년 채 안됐지만 이례적으로 300억원 이상의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주목받는다.

이곳의 잠재력을 알아본 곳은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벤처스다. 컴퍼니케이파트너스, 티비티, 프리미어, 스톤브릿지벤처스도 업스테이지를 높게 평가했다.

업스테이지는 지난해 10월 네이버 클로바 AI 리더를 지낸 김성훈 홍콩과기대 교수와 이활석 전 네이버 클로바 OCR‧Visual 리더 등이 함께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지난 8월 194개국 600만명이 참가한 온라인 인공지능 경진대회 ‘캐글’에서 금메달을 획득, 기술 경재력을 인정 받았다.

기업의 문제 중 AI 기술을 통해 혁신이 가능한 부분을 파악하고 이에 필요한 기본 AI 모델 및 시스템 구축, AI 팀을 포함한 컨설팅을 제공하는 업스테이지는 설립 8개월 만에 금융, 교육, 유통 등 다양한 분야의 고객사를 유치해 88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업스테이지는 이번 투자를 통해 일본, 미주, 동남아로의 글로벌 진출을 본격 추진하고 내년까지 200명 이상의 국내외 AI 개발자를 포함한 전 직군에 걸쳐 대규모 채용을 진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