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최고경영자경영승계규정 수정 '외부인사 추천' 허용

BNK금융그룹 본점 전경
BNK금융그룹 본점 전경

BNK금융지주가 최고경영자 자격요건에 외부 인사를 포함하기로 했다. 김지완 현 BNK금융지주 회장같은 또다른 낙하산 회장을 위한 문호를 연 셈이다.

BNK금융지주는 4일 서울에서 이사회를 열고 최고경영자 후보군에 내부 인사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기관의 추천을 받는 외부 인사를 포함하기로 했다.

BNK금융지주 최고경영자경영승계규정은 최고경영자의 자격요건으로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상의 임원의 자격요건 충족과 함께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의 자격요건을 두고 있다. 임추위의 자격요건은 기존에 지주 사내이사(상임감사위원 제외), 지주 업무집행책임자(사장 이상, 감사담당 임원 제외), 자회사 CEO로 규정됐다. 이사회는 임추위의 적극적 자격요건에 전문기관의 추천을 받은 외부인사를 포함시켰다.

이사회는 회장 후보군을 지주 사내이사와 계열사 CEO로 제한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금융당국 등의 지적을 수용해 외부인사를 포함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BNK금융은 김지완 회장이 선임된 직후인 2018년 최고경영자 후보자 추천 원칙을 신설해 그룹 내부 임원으로 구성된 CEO 후보군 중에서 후보자를 추천한다는 원칙을 마련했다.

김지완 회장 선임 이전만 하더라도 BNK금융지주는 이장호 회장과 성세환 회장 등 내부 출신이 회장직을 수행했다. 

BNK금융지주는 내주 김 회장이 사임할 경우 회장 권한 대행 체제에 들어가고 임원후보추천위원회가 경영승계 준비 절차에 착수하게 된다. 경영승계규정에 따르면 최고경영자의 사고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이사회는 직무대행자를 즉시 선임하고 지체없이 후보추천위원회를 개최해 최고경영자 후보자 선임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최고경영자 유고 시에는 사내이사가 그 직무를 대행하며, 사내이사가 없는 경우 지주 업무집행책임자 및 자회사 CEO 중 이사회가 정하는 자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

회장 후보로는 지주 기타비상무이사 겸 부산은행장인 안감찬 행장, 지주 기타비상무이사인 이두호 BNK캐피탈 대표를 비롯해 최홍영 경남은행장, 명형국 BNK저축은행 대표, 김영문 BNK시스템 대표, 김성주 BNK신용정보 대표, 김병영 BNK투자증권 대표, 이윤학 BNK자산운용 대표, 김상윤 BNK벤처투자 대표 등 9명이 대상이다.

외부 인사로는 손교덕 전 경남은행장, 빈대인 전 부산은행장, 안효준 전 BNK투자증권 대표이사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외에도 부산 출신의 금융인이 후보로 추천받을 가능성도 있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