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그룹 채권발행, 한양증권 집중 의혹도
BNK금융지주가 회장 후보를 내부로만 한정해 김지완 현 회장의 장기집권을 도모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BNK금융지주는 김 회장 아들이 근무하는 증권사에 채권인수 물량을 몰아줬다는 의혹까지 나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은 11일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김 회장 취임 이후 그룹사 지배구조를 본인과 측근 중심으로 맞추기 위해 최고경영자 경영승계 계획 변경 및 인사 조처를 남발했고, 아들이 근무 중인 회사에 계열사 발행 채권을 몰아주기 정황이 있는 등 각종 편법적 행위를 동원하고 있다"며 금감원 검사를 촉구했다.
강 의원은 BNK금융지주가 김 회장 취임 이후 지주 최고경영자(CEO) 후보군을 지주 사내이사(상임감사위원 제외), 지주 업무 집행책임자, 자회사 CEO로 제한하도록 경영승계 계획을 변경한 점을 지적했다.
BNK금융지주의 '최고경영자 경영승계 계획'은 2018년 7월31일 이전에는 그룹 계열사 임원뿐만 아니라 외부 후보자도 추천이 가능했다.
그렇지만 2018년 7월31일 이사회에서 후보자 추천 원칙을 신설해 그룹 내부 임원으로 후보자를 제한했다. 이에 따르면 BNK금융지주 사내이사, 지주 업무집행책임자, 자회사 CEO, 부산은행장과 경남은행장이 후보였다. 그런데 BNK금융은 지난해 12월23일 이사회에서 CEO 후보군을 지주 사내이사(상임감사위원 제외), 지주 업무집행책임자, 자회사 CEO로 한정했다. 지주 사내이사와 지주 업무집행책임자, 자회사 CEO는 김 회장이 선임하는 자리여서 사실상 김 회장이 차기 회장 선임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셈이다.
강 의원은 "본인이 임명한 계열사 대표를 제외하고는 지주 회장을 못 하도록 원천봉쇄했다"고 주장했다.
김지완 회장은 2017년 8월 외부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BNK금융지주 회장에 선임됐다. 또 2020년 3월 규정을 개정해 연임에 성공하기도 했다.
이에 이복현 금감원장은 "시중은행의 임원 선임 절차와 차이점이 있다"면서 "임원 추천과 이사 경영진 임면에 대해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는 없지만 운영과정의 부적절성에 대해 의견을 내고, 추가 진행과정을 살펴보겠다"고 했다.
또 BNK금융은 일감 몰아주기 의혹에도 휩싸였다.
강 의원은 "김 회장 아들은 현재 한양증권 이사로 BNK 쪽 채권 발행 인수업무가 해당 부서 수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에 내부에서도 (김 회장 아들이) BNK와 관계가 있다고 인지하고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한양증권은 김 회장 아들이 입사하기 직전인 2019년 BNK 계열사 발행 채권 인수단에 선정돼 채권을 인수했다"며 "특히 아들이 입사한 2020년부터 인수 물량이 급증했고, 2020년 이후 올해 8월까지 무려 1조1900억원을 BNK 계열사 채권을 인수했다"고 했다.
한양증권의 BNK금융그룹 계열사 채권 인수규모는 2019년 경남은행 1000억원에 그쳤으나, 2020년에는 BNK금융지주 200억원, BNK캐피탈 1400억원, 경남은행 3000억원 등으로 4600억원으로 늘어났다. 2020년 이후 인수한 1조1900억원은 전체 BNK금융 계열사 발행 채권의 9.9%이며, 인수단 중 순위 2위에 해당하는 실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