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신한 이어 하나·국민·농협은행 현장검사서 밀착관계 정황 드러나
기업은행, 이달 현장검사 착수…수협은행과 지방은행은 10월 현장검사 실시
은행 직원과 송금업체 간 관여정도 주목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의 책임을 언급하자 마자 은행권의 이상 외화송금 규모가 10조원대로 커졌다. 일부 은행에선 은행 직원과 송금업체 간 위법 정황도 포착돼 향후 수사 결과가 주목된다.
금융감독원은 22일 은행권 이상 외화송금 검사 결과, 확인된 이상 외화송금 혐의업체 82개사(중복업체 제외), 이상 송금 규모 72억2000만달러(약 10조1000억원·원/달러 환율 1400원 기준)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14일 금감원이 발표한 검사결과(65개사 65억4000만 달러) 대비 17개사, 6억8000만달러가 늘어난 규모다.
기업은행과 수협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 등 지방은행에 대해서는 9월과 10월에 걸쳐 현장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라서 이상 외화송금 규모는 추가로 늘어날 수도 있을 전망이다. 기업은행은 9월16일까지 서면검사 후 9월19일부터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수협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은 10월 중 일부 현장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현장검사 과정에서 일부 은행 직원의 위법행위 정황도 발견돼 은행 직원과 송금업체 간 공모 관계가 드러날 지 주목된다.
금감원은 "자금흐름 추적 등을 통해 외화송금거래의 실체를 확인하고, 은행의 관련법령(외국환거래법 등) 준수여부 등을 점검 중"이라면서 "일부 은행직원의 위법행위 정황도 발견돼 관련 정보를 공유했고 향후에도 이런 정황이 추가 발견될 경우 유관기관에 적극 협조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리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SC제일은행, 농협은행 등에 대한 현장검사 과정에서 지점 직원과 외화송금 업체 간 밀착관계를 의심할 만한 정황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은행 직원과 송금 업체간 공모 관계가 드러날 수도 있다.
이상 외화송금은 이미 드러난 것처럼 대부분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로부터 이체된 자금이 국내 법인 계좌로 집금된 뒤 해외로 송금되는 구조였다. 송금된 자금의 수취 지역은 홍콩이 71.8%(51억8000만달러), 일본 15.3%(11억달러), 중국 5.0%(3억6000만달러) 순으로 많았다. 송금업체의 업종을 보면 상품 종합 중개.도매업, 여행사업, 화장품.화장용품 도매업 순이었다.
은행별 송금규모에서는 신한은행이 23억6000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우리은행(16억2000만달러) 하나은행(10억8000만달러) 국민은행(7억5000만달러) 순이었다. 송금업체 수는 신한은행이 29개사로 가장 많고 우리은행(26개), 국민은행(24개), 하나은행(19개) 순이다.
이번 검사진행 결과와 위법행위 정황 결과 발표는 지난 15일 이복현 원장이 "(이상 외화송금) 금액이 더 늘어나면 10조원 단위가 될 수 있는데 일선에서 했으니 아무도 책임이 없다고 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말한 직후에 나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