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이어 KT·LGU+도 마이데이터 본허가…연내 서비스 출시
SK텔레콤(이하 SKT)에 이어 KT와 LG유플러스가 연내 본인신용정보관리업(이하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시작, 이동통신 3사의 마이데이터 사업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13일 IT업계에 따르면 SKT가 지난 7월 통신사들 중 최초로 마이데이터 사업 본허가를 받은데 이어 KT와 LG유플러스가 전날 금융위원회로부터 마이데이터 사업 본허가를 획득했다.
마이데이터란 금융회사, 공공기관 등에 흩어져 있는 소비자의 계좌정보나 금융소비정보 등의 신용정보를 소비자의 요청이 있을 시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전송 받아 통합관리와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KT는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마이데이터 사업을 신규 목적사업에 추가했으며, 6월엔 본허가를 신청한 바 있다.
KT는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기반으로 통신과 금융 데이터를 융합한 다양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KT는 오는 11월 국내외 대형 온라인브랜드와 제휴한 고객 편의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으며 향후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신용점수 부스터 ▲통신 요금제 맞춤 추천 ▲통신 제휴카드 이용실적 안내 등의 통신 편의 서비스들을 선보인다. 나아가 통신과 금융 데이터 분석을 통해 놓치기 쉬운 금융일정 등을 먼저 고객에게 알려주는 ‘생활비서’ 서비스 출시도 계획하고 있다.
KT AI·빅데이터 사업본부 최준기 본부장은 “마이데이터 본허가를 획득함으로써 향후 소비자의 통신과 금융 데이터를 KT의 앞선 AI·빅데이터기술과 접목할 수 있게 되었다”며 “고객의 금융과 통신생활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 차별화된 개인 맞춤형 혜택을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31일 예비허가를 신청했으며,사업권 심사를 거쳐 본허가를 획득했다.
LG유플러스는 그동안 금융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는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준비해왔다. 고객과의 디지털 접점을 확대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유플러스 3.0(U+3.0)’ 전략을 실행하는 데에도 마이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본허가 획득에 따라 LG유플러스는 통신 빅데이터와 금융을 연계해 고객이 놓친 혜택을 돌려받을 수 있는 U+마이데이터 ‘머니Me(가칭)’ 서비스를 연내 오픈할 계획이다. ‘나를 알아주고 공감하고 도와주는 서비스’를 지향하는 ‘머니Me’는 고객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는 ‘U+멤버스 앱’을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전경혜 LG유플러스 AI/Data Product담당(상무)은 “U+마이데이터는 데이터로 고객을 충분히 이해해 고객경험혁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종산업간 데이터 융합으로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 라고 말했다.
앞서 SKT는 지난달 29일 이동통신업계 최초로 본인 인증 서비스 PASS(패스) 앱에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개시했다.
SKT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기본적인 자산 통합 조회 기능에 더해, 19개 재무지표를 통한 입체적인 재무건강진단 및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 특화 재무건강진단 서비스는 SKT가 한국FP협회와 공동 개발했다. 고객들은 SKT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써 재무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 또는 잠재적인 재무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 가이드도 함께 제공받는다.
SKT는 향후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AI서비스 A.(에이닷)과 연계해 이통사 상관없이 모든 고객의 소비생활 영역 속 혜택을 찾아주는 AI 기반의 개인화 서비스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