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사진=이슈앤 비즈DB
검찰/사진=이슈앤 비즈DB

 

[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검찰이 금융·증권 범죄 전문 수사 조직을 2년 4개월만에 부활시키자 여의도 증권가는 물론 금융권 전체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서울남부지검은 "기존 금융증권범죄 수사협력단' 체제를 개편해 '금융·증권범죄 합동수사단''(합수단)을 새롭게 출범한다"고 18일 밝혔다.

주가조작과 같은 금융범죄 수사를 전담하며 '여의도 저승사자'로 불리던 합수단이 2020년 1월 폐지 이후 한동훈 법무부장관이 취임한지 하루만에 부활됐다.

합수단은 시세조종 등 자본시장의 불공정거래를 비롯한 각종 금융·증권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으로, 검사와 금융감독원을 비롯한 유관기관 직원 등 총 48명으로 구성됐다.

합수단에 검찰은 단장 1명, 부부장검사 2명, 평검사 4명 등 총 7명의 검사가 합류한다. 단장은 고등검찰청 검사급이 맡고, 산하에 설치되는 합동수사 1·2팀장에는 부부장검사가 보임된다.

그밖에 수사지원과장(서기관) 1명, 수사지원팀장 2명(사무관) 등 검찰 직원 29명이 합수단에 합류한다.

금융위, 금감원, 국세청, 한국거래소 등 유관기관 직원 12명도 합수단에 파견돼 자금추적·포탈세금 추징, 기업분석, 거래자료 수집 및 분석, 범죄수익환수 등 업무를 맡는다.

검찰은 이들 유관기관 파견직원 전원과 검찰수사관 11명을 검사실에 배치해 금융·증권범죄 직접 수사를 지원할 방침이다.

합수단은 금융·증권범죄 외에도 강제수사 등 검찰이 빨리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중요사건에 대해 유관기관과 협업해 직접 수사할 방침이다.

합수단이 출범하면서 첫 사건으로 무엇을 다룰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합수단의 1호 수사 대상은 최근 폭락 사태로 대규모 피해를 양산한 '루나 사건'이 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합수단이 라임·옵티머스 등 대형 펀드 사건들을 다시 다룰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돼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앞서 한 장관은 전날 취임사에서 "서민을 울리는 경제범죄에 대해 발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며 "즉시 증권범죄합동수사단을 다시 출범시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