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 벤처·스타트업 증시 상장 통해 인력 충원,사업 확장 추진/한국거래소 서울사옥 /사진=더블유스타트업 DB
유망 벤처·스타트업 증시 상장 통해 인력 충원,사업 확장 추진/한국거래소 서울사옥 /사진=더블유스타트업 DB

 

[더블유스타트업 김하성 기자]인공지능(AI),제약 바이오 분야 유망 벤처,스타트업 기업들이 주목을 받으면서 앞다퉈 증권시장 상장을 통한 자본확충에 나서고 있다.

자본조달을 통해 연구개발과 기술 분야 인력을 충원하고 사업 확장에 주력할 방침이다.

13일 한국거래소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투자한 인공지능(AI) 기업 코난테크놀로지는 내년 코스닥 상장을 추진키위해 이달초 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접수했다.

코난테크놀로지는 AI 기반 검색엔진과 영상인식 솔루션 개발 회사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앞서 코난테크놀로지는 거래소가 지정한 전문 평가기관 2곳에서 실시한 기술성 평가 결과 AA, A 등급을 받아 기술특례조건을 충족시켰다.

의료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루닛도 코스닥 상장을 위해 지난달 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 코스닥 상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루닛은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등을 개발하는 회사다. NH투자증권이 상장 주관을 맡았다.

루닛은 특히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지난달 24일 720억원 규모의 상장 전 지분투자(프리IPO)를 유치했다.

프리IPO는 상장 전 주식을 투자자에게 분산하고 자금을 미리 확보하는 데 쓰인다.  

이번 투자에는 미국과 홍콩, 싱가포르 등에서 활동하는 헬스퀘스트, 캐스딘, ACS 브라이트엣지, 타이번, NSG벤처스 등 해외 투자사들이 신규 투자사로 참여했다.

국내에서는 네이버와 네이버 클라우드 등 네이버그룹이 신규 투자사로 참여했다. 기존 투자자인 레전드캐피탈, 소프트뱅크벤처스(SBVA), IMM 인베스트먼트, 카카오벤처스, 미래에셋벤처투자 등도 이번 프리 IPO에 참여했다.

내년 3월 코스닥 시장에 입성을 추진중인 이뮨메드도 코스닥시장 본부에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했다.

이뮨메드는 항바이러스 단백질 ‘hzVSF’를 활용해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중인 의약 관련 제품 제조업체다.

상장 주선은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KB증권 등 3곳이 맡는다.

내년 상반기 증시 입성을 추진중인 애니메디솔루션역시 거래소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애니메디솔루션은 2016년 서울아산병원에서 분사해 설립됐으며  VR과 증강현실(AR), 3D 프린팅, 로봇 등을 활용해 환자별 맞춤형 수술기법을 개발하는 의료용 기기 제조업체다.

NH투자증권이 상장 주관을 맡았다.

이어 내년 2~3월께 상장을 추진중인 내시경용 시술 기구 업체 파인메딕스도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했다.

파인메딕스는 소화기 내시경용 절개도, 올가미, 주사기 등 내시경용 시술 기구를 개발·생산하는 기업이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앞서 AI 검사 설비 전문기업 트윔은 앞서 지난달 17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돼 거래중이다.

2010년 설립된 트윔은 인간의 시각과 판단 기능을 부여해 처리하는 시스템인 머신비전 솔루션과 딥러닝 AI 검사기 연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개발 품목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분야 제품의 불량을 검출해내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다.

AI 서비스 개발업체 마인즈랩은 지난달 23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돼 거래되고 있다.

지난 2014년 설립된 마인즈랩은 종합 인공지능(AI) 엔진과 플랫폼을 개발해 삼성전자, 포스코, 신한은행등 각 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이밖에 정밀 의료 유전체 진단기업 지니너스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돼 거래되고 있다.

2018년 설립된 지니너스는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 산하 삼성유전체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을 이전받아 스핀오프 기업이다.

현재 암 유전체 진단부터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까지 정밀의료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차바이오텍 계열사 차백신연구소도 코스닥시장에 상장됐다.

2000년에 설립된 차백신연구소는 자체 개발한 면역증강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백신과 면역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벤처기업이다.

차백신연구소는 예방백신은 물론 치료백신, 항암백신, 면역항암치료제 등으로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