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30%→15% 수수료 인상 조정
인기협, 정부 행동 지속 촉구
원스토어 영세 앱 개발자 지원 대조
통신사, 원스토어 투자 확대 성장↑
[더블유스타트업 한동현 기자] 구글이 인앱 수수료 인상률을 기존 30%에서 15%로 낮추겠다고 발표하고 국내 민심 달래기에 나섰지만 이미 마음이 떠난 영세 앱 사업자들이 다수 나타나고 있다.
원스토어는 상황을 각종 수수료 인하 지원책으로 사업자들을 포용하며 파이를 키운다는 계획이다.
KT, S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와 네이버 등 국내 대표 정보통신(ICT)기업들도 원스토어의 지분 투자를 확대해 앱 마켓 사업에 본격 참여를 선언한 만큼 원스토어 피난 행렬은 한동안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오는 10월부터 인앱 결제 수수료 30% 인상안을 15%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은 “구글이 가까운 시일 내에 대중소기업 규모에 관계 없이 일률적으로 15% 이하 수준으로 수수료를 인하할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구글이 독점적인 지위를 활용해 인앱 결제를 강제하는 상황에서 수수료까지 올리게 되면 중소규모 이하의 영세 앱사업자, 스타트업들의 피해가 상당해질 전망이다. 특히 기존 게임에만 적용 중이던 인앱 결제가 다른 미디어에도 일괄 적용되는 만큼 이를 피할 수 있는 앱 스타트업은 없는 실정이다.
수수료가 30% 인상될 경우 앱을 활용한 사업자들의 수익이 큰 폭으로 감소한다는 통계도 나온 상태다. 한국모바일산업연합회는 "최근 정부 실태조사 보고서를 통해 구글의 인앱 결제 강제 정책이 국내 모바일 콘텐츠 생태계에 치명적인 악영향으로 작용할 것이 확인됐다"며 관련 보고서를 공개한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한 해동안 모바일 앱‧콘텐츠 예상 매출액은 9조1077억원으로 전년대비 21.1% 증가할 것으로 집계됐다. 수수료도 2조140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분기부터 시행 예정인 구글 인앱결제 수수료 인상이 적용될 경우 추가 수수료가 1095억원에 달하며 기업들의 72%가 요금인상, 우회 경로를 모색하겠다고 답했다.
설문결과처럼 앱 사업자들은 대안으로 원스토어를 찾는 모양새다. 최근 통신3사 투자 확대계획이 발표된 만큼, 영세 사업자 지원책도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조시기관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조사에 따르면 원스토어의 지난해 거래액 성장률은 34.4%로 플레이스토어와 애플스토어 등 경쟁자 대비 약 2배 이상 성장했다.
성장세 지속을 위해 2018년 결제 수수료를 20%로 인하했을 뿐만 아니라 2019년 중소사업자(1만6000여곳)를 대상으로 수수료를 추가로 50% 감면해 인앱 피난민들을 받는 상태다. 콘텐츠 제공 사업자와 상생하기 위한 정책을 선제적으로 시행 중이다.
이재환 원스토어 대표는 “업계와 상생하고 이용자에게 더 큰 혜택을 제공하는 대한민국 대표 앱마켓으로 거듭나도록 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히며, 향후에도 이러한 영세 앱 스타트업 지원을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