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박영선 중기부장관이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해 전국 19개 센터장, 파트너 대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사진=중소벤처기업부)
지난해 12월 박영선 중기부장관이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해 전국 19개 센터장, 파트너 대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사진=중소벤처기업부)

 

[더블유스타트업 김수진 기자] 대기업의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 방식이 기존 사회공헌 차원에서 스타트업 기술과 자본이 합쳐진 공유가치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재설정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대기업과 스타트업 상생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전국 19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방향이 대기업과 스타트업 ‘윈윈’ 구조로 바뀌는 것이다. 

 

대기업들은 스타트업과의 연계를 통해 최신기술 도입과 활용, 비즈니스 모델 혁신이 가능하고, 스타트업은 대기업의 자금과 기술 수혜, 네트워크 확대가 가능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전국 19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파트너 대기업들과 협업해 스타트업을 지원해온 사례와 오픈이노베이션 활동으로는 광주센터와 현대자동차의 수소 스타트업 발굴 ▲ 충남센터와 한화의 태양광 소재 스타트업 지원 ▲ 대전센터와 KT, SK의 AI와 반도체 스타트업 육성 ▲ 울산센터와 현대중공업의 조선·해양 분야 오픈 이노베이션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GS, 롯데,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 비즈니스 대기업이 스타트업 판로를 지원해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와 LG가 진행하는 스타트업 밋업 포스터 

 

창조경제혁신센터는 혁신창업허브로 경제성장 원동력인 창업기업을 다양한 정책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특히 지역과 관련된 대기업을 연계해 창업을 활성화하고, 역량도 강화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대기업의 역할이 일방적 지원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 대기업 역시 투자에 따른 이득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에 중기부는 올해부터 창조경제혁신센터 내 대기업 역할을 강압이 아닌 자율성 보장 방식으로 운영방향을 재설정했다. 이는 우수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나 사내벤처팀을 육성해 대기업도 투자에 따른 이득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신산업과 소재·부품·장비 분야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대기업들이 지난해 일본 수출규제로 소·부·장 분야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은 만큼 해당 스타트업을 육성해 자립성을 높이는 성과로 이어지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그동안 대기업들이 지역의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인력, 기술, 관련 인프라 등을 적극 지원해왔다”면서, “이제는 대기업도 스타트업을 일방적으로 지원하는데 그치지 않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적극 모색할 수 있도록 상생협업 플랫폼인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가자”고 강조한 바 있다. 

 

대기업 역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매개로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윈윈하는 구조로 변화하고, 대기업에게도 이익이 되는 구조가 나온다면 보다 적극적인 지원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sjkimcap@w-startup.com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