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본뜬 한국형 메이요 클리닉 플랫폼 구축
의료기관·AI 업계 참여…개인정보 안전한 활용 뒤 수익 배분

메이요 클리닉 플랫폼 이미지/사진=메이요 클리닉 플랫폼 홈페이지
메이요 클리닉 플랫폼 이미지/사진=메이요 클리닉 플랫폼 홈페이지

[이슈앤비즈 박소란 기자] 인공지능(AI) 활용으로 의료 분야에서 빠른 기술 발전이 기대되지만,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데이터 활용에 장벽이 존재한다고 26일 밝혔다.

정부가 데이터 공유 장벽을 해소하고 개인 의료 정보 활용을 원활히 할 목적으로 '한국형 메이요 클리닉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의료, 미용 등 특화 AI 분야에서 데이터가 공유·거래되는 '데이터 스페이스' 조성의 하나로 내년 한국형 메이요 클리닉 플랫폼 구축 사업을 시작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최상위 병원이자 세계 최고 스마트 의료 기관으로 꼽히는 메이요 클리닉은 전자의무기록(EMR) 등 방대한 의료 관련 데이터가 저장, 활용되는 의료 AI·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진료·검사·영상·약물·비용 청구 등 환자의 다양한 정보를 관리한다.

미국 전역 70개 이상의 병원과 진료소에서 생성된 의료 데이터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하는데 각 병원이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통제하면서 외부와 공유는 보건정보보호법(HIPAA) 가이드라인에 따라 안전하게 수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일반 데이터 이용자가 아닌 의료기관·AI 플랫폼 업계 관계자 등만 회원 가입을 받으며 100여개 회원 중 80여 곳이 병원 등 의료 기관으로 구성돼있다. 나머지는 AI 및 데이터 분석 업계가 차지한다.

서울대병원 등 국내 의료 기관도 메이요 클리닉 플랫폼 회원 중 하나로 데이터 공유에 참여하고 있다.

정부는 한국형 메이요 클리닉 플랫폼 구축을 3개년 사업으로 기획하고 매년 6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개인 정보를 익명화해 데이터 분석, 의료 AI 개발 등에 활용하며 발생한 수익은 상호 배분하는 방식이다.

플랫폼은 내년 사업 개념 증명(POC·Proof of Concept)에 착수해 2027∼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사업 컨소시엄에는 서울대병원을 포함해 루닛, 뷰노, 카카오헬스케어 등 국내 의료 AI 플랫폼 업계가 공동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 맞춤형 AI 치료기기, 질병 진단 설루션을 개발, 실증하고 정부는 글로벌 시장 진출과 클라우드 기반 병의원 협력 플랫폼 구축 등을 지원한다.

현행법상 의료 데이터는 가명화 작업을 거친 뒤 합법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다만, 공유 전 각 병원 데이터 심의위원회,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의결 등 절차를 거치게 된다.

한국형 메이요 클리닉 플랫폼이 탄생하면 각 병원에서 일일이 데이터 공유·활용 여부를 판단하던 절차가 간소화되고 의료 AI 모델·서비스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의료 분야 외에도 정보 주체의 동의 없이 활용할 수 있는 가명 정보의 판단·처리 기준 등을 정비해 AI 모델·서비스 개발에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 경우 특정인의 정보를 알아볼 수 없도록 가명화하는 기술이 활용된다.

미국의 경우 개인을 구분할 수 있는 18가지 식별자 항목을 제거하면 해당 데이터를 건강보험법 등의 규제 대상인 개인정보에서 제외하고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정부는 "민간의 데이터 소재·유통·활용 정보를 한곳에서 제공하는 국가 데이터 인프라를 '원 윈도'(One Window)로 명명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