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앤비즈 박현정 기자] 하나금융그룹은 디지털자산과 인공지능(AI)을 디지털금융의 양대 축으로, 혁신을 넘어 금융의 대전환에 나선다고 6일 밝혔다.
하나금융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구조적 저성장 위기 극복 및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전(全) 관계사가 참여하는 ‘경제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를 구축한다. △관세피해기업 지원 △생산적 금융 △포용금융 △금융소비자보호 △디지털금융 주도 △전 국민 자산관리 지원 등 6개 분야에서 전사적 실행계획을 단계적으로 이행하는 '하나 모두 성장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6개 분야 중 '디지털금융 주도'와 관련해 최근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자산과 AI가 새로운 금융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기술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금융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2017년 국내 금융권 최초로 계열사 IT 인프라 통합 데이터센터를 개소했다. 2018년엔 국내 금융그룹 중 유일하게 독자 AI 연구 조직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을 설립해 △데이터사이언스 △자산관리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플랫폼 등의 분야를 연구하며 AI를 내재화하고 있다. 계열사 전반에 AI 기술도 접목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생산적 금융 대전환과 포용금융 확대를 위해 오는 2030년까지 5년간 100조원을 투입한다. 이중 약 84조원 규모가 생산적 금융에 투입된다. 하나금융그룹은 AI를 생산적 금융 핵심 영역으로 설정해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와 더불어 그룹 AI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시너지 창출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또한 내년 1월 시행될 AI 기본법에 대비한 법률 검토·가이드라인 제작·체계화한 AI 위험 관리 방안 등 AI 거버넌스를 구축했다.
하나금융그룹은 스타트업 발굴·협업·육성 프로그램인 '원큐 애자일랩'을 운영하며 AI 스타트업과 협업하고 있다. 대학과도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룹은 지난 7월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는 등 국내·외 AI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해 금융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궁극적으로 대한민국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방침이다.
함영주 회장은 "디지털자산은 향후 금융 시장에서 자본시장과 결제 인프라 혁신을 이끌 핵심 영역으로 그룹 차원의 대응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동시에 AI를 기반으로 한 금융 인프라 혁신으로 고객 맞춤 서비스, 리스크 관리, 내부 운영 전반의 효율을 높이는 등 디지털 자산과 인공지능(AI) 두 축을 기반으로 디지털 주도 금융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