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앤비즈 박현정 기자]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9일(현지시간) 혼조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37포인트(-0.16%) 내린 47,632.0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30포인트(0.00%) 내린 6,890.59에 거래를 마쳤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30.98포인트(0.55%) 오른 23,958.47에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이날 상승으로 종가 기준 사상 최고 기록을 다시 경신했다.
다우지수와 S&P 지수는 이날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붐' 낙관론으로 급등 출발한 데 힘입어 강세를 보이다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이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으로 해석되면서 반락했다.
12월 금리 인하를 거의 '기정사실'로 여겨온 시장은 원론적 입장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 파월 의장의 이 같은 발언을 매파적으로 받아들였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오는 12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추가로 0.25%포인트 이상 인하할 확률을 66%로 낮춰 반영했다. 하루 전만 해도 이 확률은 91%였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08%로 전장 대비 9bp(1bp=0.01%포인트) 상승해 4%대로 올라섰다.
연준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같은 시간 3.60%로 전장 대비 10bp 급등했다.
파월 발언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AI) 기술 생태계의 중심에 있는 엔비디아는 이날 2.99% 상승하며 사상 처음으로 시총 5조 달러를 돌파한 기업이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