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복합개발·입체개발 사업현장 시찰
인프라 개발 연계 복합개발 방식 사업 전략 모색
사업기획, 개발, 관리·운영까지 전 과정 방안 연구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가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일본 도쿄를 방문해 개발 모델에 대한 모색을 추진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일본 방문은 공공개발사업자로의 도약과 서울 유일의 개발 전문 공공기관으로서의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됐다.
SH는 복합개발 사업 담당 본부장 등을 포함한 실무단을 구성해 도쿄도청·JKK도쿄·복합개발 사업현장 등을 직접 방문했다.
이번 활동에서 방문단은 찾아, 타운매니지먼트(TM) 성공사례와 도심 내 복합개발 사례 등을 파악해 SH만의 차별화된 개발 모델을 모색했다.
실무단은 일본의 주요 부동산 개발회사인 미쓰이부동산, 모리빌딩, 미쓰비시지쇼 사업현장 등을 방문해 개발사업자를 중심으로 지역주민들과 함께 지역 경쟁력을 강화하는 ‘타운매니지먼트(TM)’ 전략을 벤치마킹했다.
SH는 "향후 공사는 사업 초기 개발구상 단계부터 단순하게 건물을 짓는 것이 아니라, 공사 자산 브랜딩을 통해 시민이 다양한 경험을 소비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라 전했다.
또 도심 가용지 부족을 도심재개발 및 기반시설 입체 복합화로 해결하는 도쿄 사례를 적극 활용해 '9·7 주택공급 확대방안' 이행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실무단은 JKK도쿄의 무사시 코카네이 단지(임대단지 재건축 및 노인주택 복합개발 사례)에서 사업내용과 서울과 도쿄의 주택공급 정책기관으로서 각 기관간 노인 주거에 대한 대응 전략과 의견 등을 교환했다.
해당 의견들은 향후 노후 임대단지 재건축 계획 수립시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황상하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사장은 “도쿄의 우수사례를 적극 활용해 기존의 획일적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인프라 개발과 연계한 복합개발 사업전략을 모색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서울의 유일한 도시 전문 공기업이자 공공디벨로퍼로서 전문성 강화를 위해 우수사례를 적극 벤치마킹해 공사 사업에 적극 적용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