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현판 수여식(왼쪽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조희수 청장,오른쪽 엠브릭스 정상원 대표)/사진=엠브릭스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현판 수여식(왼쪽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조희수 청장,오른쪽 엠브릭스 정상원 대표)/사진=엠브릭스

 

[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바이오 플랫폼 기업 엠브릭스는 ‘2025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DIPS 1000+)'에 신규 초격차 스타트업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신규 선정에 대해 엠브릭스 정상원 대표는 “mRNA 치료제의 정밀 표적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그랩 항체 플랫폼의 기술 혁신성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엠브릭스의 그랩 항체 플랫폼은 mRNA를 넣고 봉한 지질나노입자(LNP)에 항체를 결합하는 기술이다. 

정 대표는 그랩 항체 플랫폼에 대해 “기존 화학적 방식 대비 제조 공정을 간소화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복합체의 균일성과 안전성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엠브릭스에 따르면 그랩 항체 플랫폼은 in vivo CAR-T, 유전자 치료제, 항암 백신 등 미래 치료 기술 분야에서 상용화가 가능한 정밀 의료 분야 기술이다.

지난달 엠브릭스는 코스닥 상장 바이오 기업 아이진과 차세대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기술(MBT-002)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MBT-002는 유전자 재조합 방식으로 생산된다. 기존 제품 대비 MBT-002는 확산이 적고 독성이 낮아 부작용 위험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MBT-002는 발현 시간(On-set time)이 빠르며 효과의 지속 기간(duration)이 길어 효능과 안전성을 갖춘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이라고 엠브릭스 측은 설명했다. 

정 대표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선정과 아이진과의 기술 이전 계약 체결은 자사의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초격차 스타트업 선정 이후에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in vivo CAR-T 개발 분야)과 국가개발신약사업(난치성 두경부암 치료제 개발 분야) 등에 연속 선정돼 기술력을 입증했다”라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이어 “국가 과제에 다수 선정된 만큼 정밀 의료 분야 기술 상용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엠브릭스는 지난 4월 2025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최종 선정됐으며 이번 달 11일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열린 ‘2025년 신규 초격차 스타트업 현판수여식 및 네트워킹 데이’를 참여해 현판을 받았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