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6 99% 이상 분해 및 유해가스 제거 기술
철도공단과 MOU, 수송 분야 탄소중립 기여

29일 경기 의왕시 국가철도공단 부지에서 열린 ‘수소활용 SF6 분해센터’ 준공식 행사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단체 기념 사진을 찍는 모습. /사진=한국전력공사
29일 경기 의왕시 국가철도공단 부지에서 열린 ‘수소활용 SF6 분해센터’ 준공식 행사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단체 기념 사진을 찍는 모습. /사진=한국전력공사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29일 ‘수소활용 SF6 분해센터’ 준공식을 개최했다.

경기 의왕시 국가철도공단 부지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세계 최초로 수소활용 SF6 분해 및 무해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온실가스 감축 및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점을 기념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한전은 준공식과 함께 한국서부발전, 국가철도공단, 경기도와 ‘수소 기반 국가 전력 및 철도 인프라 활용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행사에는 문일주 한국전력공사 기술혁신본부장, 엄경일 한국서부발전 기술안전부사장, 김윤양 국가철도공단 SE융합본부장, 정한규 경기도청 첨단모빌리티 산업과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SF6는 ‘황’과 ‘불소’의 화합물로 절연성능이 우수해 전력설비인 개폐기 등에 절연가스로 사용된다.

다만 이산화탄소(CO2)의 2만3900배에 달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큰 대표적인 온실가스다.

한전은 현재 전력설비 내 6000톤 이상의 SF6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가철도공단 또한 약 383톤의 SF6를 사용 중이다.

이에 양기관은 SF6를 친환경 가스로 대체하는 방향으로 전력설비를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한전은 친환경 전력설비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SF6의 처리를 위해 지난 2020년부터 SF6 분해기술 연구개발에 착수했다.

또 고농도 SF6를 수소열원을 사용해 유해물질을 무해화하는 기술을 자체 개발했다.

한전은 지난해까지 기초실험 등을 통해 실증설비 설계를 완료하고, 이번에 연간 최대 60톤의 SF6를 처리할 수 있는 실증설비를 구축했다.

이를 위해 지난달까지 시운전을 통해 성능을 검증했으며, 분해율 99% 이상 및 유해가스 제어 등 우수한 성능이 확인됐다. 

한전은 "이번 설비는 세계 최초로 수소를 활용한 SF6 분해기술을 상용화한 사례"라 평가했다.

이와 관련 한전은 올해까지 기술을 최적화하고 다음해부터는 국가철도공단 전력설비에서 발생하는 SF6를 처리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철도 인프라의 탄소중립 기술 협력을 강화해 국가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고, 향후 기술 확산 및 제도 정착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문일주 한국전력공사 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의 토대를 마련했다”라며 “전력망, 철도 인프라를 넘어 다른 산업 분야로 기술을 확산시켜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