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럽, 오세아니아 등 해외 식품사업 견조한 성장… ‘K-푸드 신영토 확장’ 성과 가속
지난해 기저 효과 등으로 바이오 매출 감소, F&C는 구조 개선 효과 반영되며 영업이익 개선

CJ제일제당 로고/사진=CJ제일제당
CJ제일제당 로고/사진=CJ제일제당

 

[이슈앤비즈 박현정 기자] CJ제일제당은 올해 1분기 매출 4조 3625억 원 (-1.8%, 이하 전년 동기비), 영업이익 2463억 원(-7.8%)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자회사인 CJ대한통운을 포함한 연결기준 실적은 7조 2085억 원(-0.1%)의 매출과 3332억 원(-11.4%)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식품사업부문은 매출 2조 9246억 원(+3%)과 영업이익 1286억 원(-30%)을 기록했다. 국내 식품사업(매출 1조 4,365억 원)은 가공식품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온라인 매출이 33% 고성장 했음에도 내수 소비 부진이 지속되며 매출 정체를 나타냈다. 올해 설 명절이 평년보다 빨라, 선물세트 매출이 지난해 4분기에 일부 반영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해외 식품사업(매출 1조 4881억 원)은 ‘K-푸드 신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면서 견조한 성장세(+8%)를 유지했다. K-푸드 대표 브랜드인 비비고의 인지도가 계속 올라가면서 북미를 비롯해 유럽과 오세아니아 등 글로벌 전역에서 고른 성장을 이어갔다.

해외 매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북미의 경우, 상온 가공밥(+39%), 피자(+10%), 롤(+23%) 등이 안정적인 성장을 이끌며 매출 1조 2470억 원을 달성했다. 중국과 일본도 만두를 포함한 주력 제품 판매 확대로 매출이 각각 15% 이상 늘었다.

CJ제일제당은 글로벌 각국의 시장 환경과 소비자 니즈를 고려한 맞춤형 전략을 고도화하여, 글로벌전략제품(GSP) 대형화와 해외 신영토 확장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식품사업은 디지털 플랫폼 전환에 더욱 속도를 내는 한편, 건강∙편의 등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 혁신을 통해 질적 성장을 모색한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최초∙최고∙차별화의 ‘온리원(OnlyOne) 정신’을 토대로 글로벌 사업 확장을 더욱 가속화하고, 수익성 극대화와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CJ제일제당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