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국에 이어 독일 뮌헨에 법인 설립 
자동차, 배터리 및 전기전자 분야 제조기업 대상 탄소관리 솔루션 제공 

/사진=글래스돔 로고
/사진=글래스돔 로고

 

[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탄소배출 데이터 관리 기업 글래스돔이 독일 뮌헨에 유럽법인을 설립하고 유럽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11일 밝혔다.

글래스돔은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 리포팅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여 기업이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기후테크 전문 기업이다. 

글래스돔은 미국과 한국에 이어 유럽법인을 설립하여 글로벌 탄소규제의 발원지인 유럽에서 자동차, 배터리 및 전기전자 분야의 제조기업들에게 탄소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EU 배터리 규제는 전기 자동차 및 충전식 산업용 배터리의 탄소 발자국 데이터 취합을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배터리 여권이 2027년부터 도입될 예정으로 자동차, 배터리 관련 공급업체들은 부품의 탄소배출 데이터를 측정해 글로벌 인증을 받아야 한다.

글래스돔의 제품탄소발자국 솔루션은 다양한 유형의 기계과 생산 라인을 갖춘 기업의 탄소 배출 데이터를 취합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해 준다. 

특히 ‘ISO 14067’ 검증을 획득해 탄소배출 데이터의 글로벌 인증에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절감해 주는 강점이 있다.

글래스돔의 제품탄소발자국 솔루션 및 컨설팅을 연계한 제3자 인증서비스는 롯데인프라셀, 조일알미늄, SKIET, LG전자 VS사업본부, 신성오토텍, MEMC 등 국내 유수의 기업에서 사용 중이다. 

지난해 12월 독일 지멘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자동차 분야에서 공급망을 연계한 제품탄소발자국을 산출하고 카테나-X(Catena-X) 데이터 상호운용성 성과를 발표한바 있다.

글래스돔코리아 함진기 대표는 "글래스돔 유럽법인은 거세지는 EU 탄소규제에 유럽에 위치한 자동차, 배터리 및 전기전자 제조기업들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핵심 거점이 될 것"이라며 "한국에서 입증된 글래스돔의 기술력이 규제 발원지인 유럽의 제조기업들에게도 혜택을 나눠줄 수 있는 계기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윤태진 글래스돔 유럽법인장 
/사진=윤태진 글래스돔 유럽법인장 

글래스돔은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출신의 김대웅 CEO가 제조기업의 탄소데이터 관리 및 디지털 전환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다. 2019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한 뒤 2020년 글래스돔코리아를 설립하였다. 글래스돔코리아는 KAIST 원자력공학 박사 출신이자, HD한국조선해양 글로벌R&D센터 에너지 부문 연구실장을 역임한 함진기 대표가 이끌고 있다. 

글래스돔은 제조업계에 특화된 ‘소프트웨어 수직통합 최적화 플랫폼’을 개발하여, 이를 바탕으로 B2B 시장에 ‘제품 탄소발자국 솔루션’과 ‘제조공정운영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제품 탄소발자국 솔루션’은 제조 공정상 수집된 리얼 데이터를 토대로 제품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솔루션이다.

고객사들이 EU CBAM, 배터리 규제, 디지털 배터리 여권 등 글로벌 환경 규제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부터 모니터링, 리포팅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고객사는 롯데인프라셀, 조일알미늄과 같은 알미늄 제조사와 SK 아이이테크놀로지, 엘앤에프와 같은 배터리 소재 제조사 및 자동차 부품 제조사들이다.

‘제조공정운영 최적화 솔루션’은 제조 공정 운영 최적화를 위한 SaaS로 한국과 미국에서 식음료 제조, 화학, 기계 등 다양한 제조 분야의 고객사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제조 현장의 다양한 PLC, 센서, 계측기 등에서 수집된 실시간 데이터와 ERP, MES와 같은 기존 시스템의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플랫폼에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게 하며, 이를 바탕으로 공정 관리나 품질 모니터링 등 공정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한 인사이트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대표적인 고객사는 식음료 분야 오리온, 삼양식품, 롯데웰푸드, 한국청정음료, 제약 분야 대웅제약, 중앙백신, 기계가공 분야 대동, 아시아 제지 등이 있다.

글래스돔은 기술력과 성장가능성을 인정받아 2023년 5월 총 860만 달러(113억원)의 투자를 유치하였으며, 2023년 10월에는 SK㈜로부터 추가 투자를 유치하였다. 2024년부터는 ’제품탄소발자국 솔루션’으로 한국 및 유럽 시장에서 시장 선점을 위해 집중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