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데이터센터 구축
“원전 안전성 높일 것”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11일 세계 최초의 '원전 특화형 초거대 인공지능(AI)'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이날 서울 한국수력원자력 방사선보건원에서 '한수원형 생성형 인공지능(AI) 구축 사업 계약 체결식'을 개최했다.
체결식에는 한수원을 비롯해 네이버클라우드, 베스핀글로벌이 참가했다.
한수원은 이번 계약을 통해 네이버클라우드의 초거대 언어모델인 ‘하이퍼클로바 X’에 원전 데이터를 학습시킨 후, 외부망으로부터 분리된 사내 데이터센터에 설치, 베스핀글로벌의 챗봇 서비스인 ‘HelpNow AI’를 이용해 한수원 특화의 AI 서비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한수원에 따르면 챗GPT, 코파일럿 등 초거대 언어모델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공공 클라우드망을 통해 제공된다.
이에 한수원은 데이터의 보안 중요성을 감안해 국내 공공기관 최초로 이를 사내망에 구축하기로 했다.
한수원은 다음해 3월 사내에 하이퍼클로바 X 서비스를 개시해 임직원들이 사내 업무망에서 문서요약, 번역 등과 같은 생성형 AI의 범용기능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후 다음해 7월까지 한수원 데이터 학습을 완료하고 ▲원전건설 ▲발전 ▲정비작업 ▲안전 ▲수력·신재생 ▲대외기관 대응 ▲AI Assistant 등 7대 업무 분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해 업무 생산성을 높일 방침이다.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엄격한 규제와 품질이 요구되는 원전 산업에 AI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원전 안전성과 효율성을 더욱 높일 것”이라 말했다.
이어 “이번 네이버클라우드와 베스핀글로벌과의 사업을 통해 한수원이 원전 분야에서 차별화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