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약 40개국 스타트업·투자자 참여
우모, 행사 참석자 교류 돕는 온라인 네트워킹 서비스
QR 통한 출입증 발급으로 실참관객 데이터 관리 강화
“컴업 등록된 우모 프로필 약 3500개… 행사 활성화 위한 기능 개발 지속할 것”
[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스플랩은 오는 11일부터 양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컴업(COMEUP) 2024’에 참관객 데이터 관리 기능을 강화한 비즈니스 네트워킹 서비스 ‘우모(Umoh)’를 공급한다고 3일 밝혔다.
컴업은 한국의 창업 생태계를 전 세계에 알리고, 해외 투자자 및 스타트업 등과의 교류를 위해 마련된 국내 최대 규모의 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이다. 올해 슬로건은 'Innovation Beyond Borders(혁신의 경계를 허물다)'로 약 40개국이 참여할 예정이다.
스플랩의 우모는 비즈니스 행사 참가자들의 교류를 위한 온라인 네트워킹 서비스다. 각각의 행사 참석자들만의 온라인 공간이 마련된 후 참석자들은 간단한 키워드 입력으로 생성한 AI 프로필을 통해 자신을 알리며, 원하는 상대에게 대화나 미팅을 제안할 수 있다.
오프라인 행사에서 발생하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행사 전후 언제든 참석자들간 교류가 가능하다. 스타트업 박람회 ‘넥스트라이즈’, HR콘퍼런스 ‘ATD 코리아 서밋’, 게임 전시회 ‘지스타’ 사이드 이벤트 등 올해 개최된 여러 대규모 행사에서 우모가 활용됐다.
컴업에 제공되는 우모는 행사 주최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참석자들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강화했다. 우모 내 프로필 작성 시 생성된 QR코드를 통해 행사장 출입증을 발급하며, 이를 통해 실제 참관객의 데이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주최자의 편의를 높이고자 QR 리더기와 인쇄기도 제공한다. 이외 참석자 수, 생성된 대화·미팅 개수, 주목받은 키워드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강연자와 청중 간 소통을 위해서도 우모를 활용할 수 있다.
선민승 스플랩 CEO는 “컴업 개최 전부터 다른 참석자들과의 소통을 위해 우모에 자신의 프로필을 등록한 인원이 약 3500명에 이른다. 참석자들의 관심이 높은 만큼 세계 각국의 혁신 스타트업과 투자자들이 최적의 네트워킹 환경에서 교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비즈니스 행사 주최 및 운영자들이 참석자들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행사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역시 지속적으로 찾아가겠다”고 밝혔다.
스플랩은 MICE 산업의 DX를 선도하는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스타트업이다. 업계를 잘 이해하면서 뛰어난 프로덕트 개발 능력을 보유한 스플랩은 DX가 더딘 MICE 업계의 디지털화에 앞장서며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는 중이다.
스플랩은 B2B·B2C 행사나 커뮤니티 참가자들이 누구나 그들만의 SNS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신개념 네트워킹 서비스 ‘우모(Umoh)’를 개발, 운영하고 있다. 우모는 ‘우리가 모이는 방법’이라는 의미로, 행사나 커뮤니티 참가자들이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스플랩은 법인 설립 한 달 만에 실리콘밸리 HQ 500글로벌로부터 프리 시드를, 7개월 후엔 스파크랩·CJ인베스트먼트·500글로벌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루트임팩트 △코리아 스타트업 포럼 △지란지교소프트 등 다양한 분야의 고객사와 협업하고 있으며, △넥스트라이즈 2024 △부산 슬러시드 2024 △ATD 코리아 서밋 △모던 그로스 스택 등 대규모 행사에 우모를 공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