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보사 212.6%·손보사 223.9%

금융감독원/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사진=연합뉴스

 

[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지난 2분기 보험사의 자산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급여력(K-ICS)비율이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 영향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경과 조치를 적용한 보험사의 6월 말 신지급여력제도(K-ICS) 비율은 217.3%로, 전 분기 대비 6.3%포인트(p) 하락했다.

지급여력 비율은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생명보험업계의 지급여력비율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은 212.6%로 전 분기 대비 10.3%포인트 하락했다. 

손해보험사들의 지급여력비율은 223.9%로 전 분기 대비 0.8% 포인트 하락했다.

6월 말 경과조치 후 K-ICS 가용자본은 260조4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8000억원 감소했다.

가용자본이 줄어든 것은 2분기 당기 이익이 증가했지만,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보험부채가 증가하고, 기타 포괄 손익 누계액이 11조9000억원 감소했기 때문이다.

반면 요구자본은 같은 기간 119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말 K-ICS 비율을 보면 생명보험사 중에서는 농협생명(373.4%), 메트라이프생명(358.9%), 라이나생명(342.9%) 등이 300%를 넘겼다.

손해보험사 중에서는 카카오페이손해보험(1,171.9%), 신한EZ손해보험(343.5%), 농협손해보험(306.6%) 등이 300%를 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 증대되고 있는 만큼 취약 보험사 중심으로 충분한 지급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철저히 감독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