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물관리 플랫폼 구축해 물테크 기반 제2 중동 붐
5년간 물 분야 디지털트윈 개발·운영, 물테크 산업 진출
건설 위주 중동 진출서 물 기술 중심 신성장 동력원 전환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수자원공사가 22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물관리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공사는 지난 16일 팀 네이버 및 사우디 자치행정주택부 산하 NHC 간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사업 계약'이 성사되면서, 향후 5년간 물관리 분야 디지털트윈 개발 및 운영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 전했다.
이와 관련 공사는 지난 5일 팀 네이버와 ‘사우디아라비아 물관리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공사는 이번 협약에 대해 "지난해 10월 정부의 사우디아라비아 국빈 방문 등 세일즈외교에 이은 후속 조치로 성사된 만큼, 국내 물테크 산업의 중동 진출을 위한 기반을 확실히 마련할 계획"이라 설명했다.
이어 "네옴시티 등 첨단 기술 중심으로 포스트 오일 시대를 준비하는 사우디아라비아가 물관리 파트너로 대한민국을 선정했다는 데 그 의미가 크다"라고 강조했다.
공사는 사우디의 물 관리 문제에 대해 자사의 초격차 기술인 ‘물관리 디지털트윈’을 기반으로 이를 해결하고 기존 건설사업 위주의 중동 수출에서 첨단 기술에 기반한 솔루션 수출의 글로벌 물테크 기업으로 입지를 다질 방침이라 전했다.
이와 관련 수자원공사는 기후위기 대응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물관리 디지털트윈 ▲인공지능(AI) 정수장 ▲스마트 관망관리(SWNM) 등 3대 초격차 물관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공사는 국내 성과를 기반으로 구축해 온 홍수량 모니터링, 예·경보 시스템, 강우 레이더, 홍수 시뮬레이션 등의 첨단 시스템을 사우디아라비아에 전수할 예정이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는 포스트 오일 시대를 준비하며 대규모의 도시 인프라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민국을 물관리 파트너로 선정한 것은 그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0세기의 중동 붐이 노동력에 기반한 수출산업이었다면, 이제는 물을 기반으로 원천 기술과 솔루션을 수출하는 제2의 중동 붐을 개척하여 신성장동력을 확보해 가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