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 봉쇄 완화로 수출, 수입 모두 증가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21일 '2023년 북한 대외무역 동향'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가 27억6912만달러라 집계했다.
KOTRA가 공개한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북한의 이러한 대외무역 증가 규모는 전년 대비 74.6%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KOTRA는 "글로벌 팬데믹 종료, 국경 봉쇄 정책 완화 등으로 수출과 수입 모두 증가했기 때문"이라 분석했다.
보고서 기준 북한의 지난해 수출은 전년 대비 104.5% 증가한 3억 2517만달러, 수입은 71.3% 증가한 24억4395만 달러로 나타났다.
무역적자는 지난 2022년 12억6761만달러에서 지난해 21억1878만달러로 67.1% 증가했다.
KOTRA는 이에 대해 "코로나19 시기 이후 기저효과와 대중(對中) 교역 증가에 기인한 것"이라 추정했다.
북한의 최대 무역상대국인 중국과의 교역은 2022년 대비 77.6% 증가한 27억2110만달러로 집계됐다. 수출 규모는 2억9245만달러, 수입 규모는 24억2865만달러로 나타났다.
반면 무역적자는 같은 기간 12억6761만달러에서 21억1878만달러로 대폭 증가했다. 이는 전년 대비 2배 수준에 달한다.
여기에 북한 전체 교역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96.7%에서 98.3%로 더 늘어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집권 이래 가장 높은 대중 의존도를 경신했다.
중국을 제외한 북한의 주요 교역국은 베트남, 인도, 모잠비크, 오스트리아로 나타났다. 다만, 북한의 교역국 1위인 중국(98.3%)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가 북한 대외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그쳤다.
북한의 최대 수출 품목인 조제우모와 솜털(HS 67)(가발, 조화 등)은 전년 대비 1332.5% 증가한 1억6766만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2위 품목이었던 철강(HS 72)은 전년 대비 23.4% 증가한 반면, 1위였던 광물류(광·슬랙 및 회, HS 26)는 3위로 감소했다.
북한의 최대 수입품목은 원유·정제유 등 광물성 연료·광물유(HS 27)이나, 전년 대비 13.4% 감소한 4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플라스틱류(HS 39)와 동식물성 유지 및 분해생산물(HS 15)은 전년도에 이은 상위권을 유지했다. 다만 지난해 10위권 밖에 있었던 조제우모와 솜털(HS 67)이 3위에 진입했다.
KOTRA 관계자는 “북한의 대외 교역규모는 2021년 최저치를 기록한 후 지난해 증가추세를 이어 나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복귀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과의 교역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 타지역과의 교역이 확대되는지 모니터링 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