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우려 대비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
새로운 사업 방향 정립, 혁신 아이디어 도출
로컬브랜딩과의 융복합 운영 방안 모색 등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수자원공사가 17일‘댐 주변지역 지원사업 활성화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
대전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포럼은 인구감소로 지방소멸이 우려되는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 대상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앞서 공사는 지난 1990년 소양강, 안동, 대청, 충주, 합천, 주암, 임하댐 주변 7개 지자체를 시작으로 현재 28개 댐 주변지역 59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현행법에 따라 소득증대, 복지 증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날 포럼에서는 우장한 경북시민재단 상임이사가 포럼 주제인 ‘지방소멸 시대 지원사업의 역할과 대응 방향’을 소개했다. 이후 공사 및 시민단체 등이 주제 발표를 진행했다.
공사는 ‘인구감소 지방소멸 대응 댐 주변지역 활성화 전략’을 주제로 지방소멸 극복을 위한 지원사업의 역할을 설명했다.
또 우수사례인 소양강댐 및 성덕, 군위, 보현산 등 소규모 3개 댐 의료서비스와 진안군 용담댐 탄소제로형 생태 마을 조성, 충주시 충주댐 장자늪 카누체험장 조성 사례도 소개했다.
공사는 이를 통해 지자체와 연계한 공모사업 확대, 댐별 전문가 플랫폼과 연계한 사업개발을 지원사업이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했다.
더불어 평가제도 도입으로 사업성과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뒤이어 ▲지역재생과의 연계 과제를 담은 ▲‘댐 주변지역 관계인구 확대 방안’ ▲지역 인구문제 해결책을 포함한 ‘댐 주변지역의 미래를 여는 국가인적자원개발(N-HRD) 전략’ 등 총 3개 주제가 발표됐다.
이후 우장한 경북시민재단 상임이사가 좌장을 맡아 전문가 토론이 진행됐다. 토론에서는 주제 발표자와 김철회 한남대학교 교수, 한경구 균형성장정책개발원 원장이 참석해 지원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
장병훈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환경부문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제시된 다양한 의견과 제안들이 지방소멸 위기를 체감하고 있는 댐 주변지역들의 실질적 대안 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