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방사성폐기 처리 시설 안정 운영
전기아크 통해 1600도 이상 고열 발생
방폐물 용융해 부피 5분의 1 이상 줄여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9일 자체 개발한 방사성폐기물 처리 설비 '플라스마 처리설비'이 누적 안정 운영 시간 2083시간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독자 개발한 이번 설비의 안정 운영 기록에 따라 설비 안정성을 입증,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플라스마 처리설비는 전도체 사이의 공극을 통과해 흐르는 고전류의 지속적인 전기 방전 현상인 '전기아크'를 이용해 섭씨 1600도 이상의 고열을 발생시킨다.

전기아크는 산업계에서 일반적으로 금속 절단 및 나노 소재 개발 등에 사용된다.

이와 관련 한수원은 지난 1996년부터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용으로 사용하고자 해당 설비를 개발해왔다.

해당 설비는 플라스마 처리기술을 활용해 금속, 콘크리트, 토양, 석면 등의 방사성폐기물을 용융, 방폐물의 부피를 약 5분의 1 이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간 한수원은 약 4.9톤 규모의 비(非) 방사성폐기물을 모의로 제작, 지난 2022년부터 지난달 말까지 실증 실험을 진행했다.

이에 따른 해당 설비의 최장 연속운전 시간은 140시간, 누적 시간은 2083시간에 달한다.

한수원에 따르면 국내 방사성폐기물 처리 분야 가운데 플라스마 처리설비가 2000시간 이상 운영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호철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장은 "앞으로 플라스마 처리기술을 계속 검증해 핵심 설비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상용화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라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 해체에 적용해 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물론 해외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 밝혔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