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청정수소 사업화 기반 마련
대한민국 탄소중립 가속화에 기여

(왼쪽부터) 19일 한국수력원자력 방사선보건원에서 열린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활용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설영실 한국전력기술 전력기술연구원장,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정동희 전력거래소 이사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박경국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장,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 송민호 한국가스기술공사 본부장이 기념 사진을 찍는 모습.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왼쪽부터) 19일 한국수력원자력 방사선보건원에서 열린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활용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설영실 한국전력기술 전력기술연구원장,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정동희 전력거래소 이사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박경국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장,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 송민호 한국가스기술공사 본부장이 기념 사진을 찍는 모습.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19일 7개사와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활용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울 한수원 방사선보건원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에는 한수원을 비롯해 삼성물산,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한국전력기술,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전력거래소 등 8개사가 참가했다.

이번 협약은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 실증의 성공적인 수행 및 적기 사업화 추진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자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참가 기업들은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 대용량 상용 플랜트 구축·운영 ▲국내 및 해외 수출형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 사업모델 개발 ▲국내 청정수소 생산·활용을 위한 사업 기반 조성(안전·규제, 법·제도 등) 등에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이와 관련 한수원은 지난 2022년부터 2년간 원자력 청정수소 기반연구를 수행해온 바 있다.

한수원은 이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4년간 12개 기관과 협력해 국가연구개발사업 중 하나인 ‘원전 전력 연계 저온 수전해 수소 생산 및 운영 실증’을 수행할 계획이다.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청정수소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 및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 설명했다.

이어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은 국가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미래 에너지 안보를 실현하는 핵심요소”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