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래스돔, 제품탄소발자국 솔루션으로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탄소배출 데이터관리 기업
ISO 국제 표준에 맞춰 개발된 세계 최초 SaaS 기반 솔루션으로, LRQA 검증 획득
글래스돔 솔루션 통하면 제3자 검증 시간 및 비용 절감효과
배터리 분야부터 실시… SK아이이테크놀로지, 탄소 데이터 추출∙검증 절차 간소화 기대
[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탄소배출 데이터관리 솔루션 기업 글래스돔코리아는 SK C&C(사장 윤풍영)와 함께 SK아이이테크놀로지(사장 김철중)에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EU는 ‘27년부터 배터리 생산·이용·폐기·재사용·재활용 등 제품 전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기록하고 공유하는 ‘디지털 배터리 여권’ 제도를 도입한다. 특히, EU는 국제 표준 ISO 14067을 바탕으로 탄소배출량 데이터에 대해 ‘제3자 검증’을 받도록 요구할 방침이다.
이에 글래스돔은 지난 3월, 로이드인증원(LRQA)으로부터 SaaS(Software-as-a-Service) 기반 솔루션으로는 세계최초로, 제품탄소발자국 평가에 대한 국제 표준 ISO 14067 검증을 획득했다.
이번 검증 획득을 통해 글래스돔 솔루션이 제품탄소발자국을 산출하는 방식과 보고서가 모두 ISO 14067에 기반하여 구현되었음을 인정받고 EU CBAM, 디지털 배터리 여권 등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하여, 제3자 검증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면 기업이 글래스돔의 제품탄소발자국 솔루션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측정∙보고하면, ISO 14067 국제 표준을 준수한 결과를 얻게 되므로 ▲검증기간 단축 ▲비용 절감의 이점을 누리게 된다. 로이드인증원은 EU가 인정한 탄소 배출권 거래제(ETS, Emissions Trading Scheme) 검증 공인 기관 중 하나로, 현재는 160개 이상의 국가에서 국제 표준 인증 및 검증을 실시하고 있다.
글래스돔은 리얼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품의 탄소발자국 생애 주기를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환경규제에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제조 공정 과정의 데이터 수집에서부터 모니터링, 리포팅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정확한 실측 데이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탄소배출량이 부풀려져 페널티를 받거나 보고서를 인증받지 못할 위험성이 없다.
또한 제조 협력사의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탄소배출량으로 변환 후 해당 데이터만 전송하는 것이 특징이다.
글래스돔과 SK C&C는 유럽 국가들에서 ‘디지털 배터리 여권’ 데이터 제출을 요구하는 상황에 맞춰, 데이터 검증에 상당한 시간을 들이고 있는 배터리 산업 고객을 우선적으로 지원한다. 실제로 리튬이온배터리 분리막 제조 기업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을 활용해 배터리 생산 기업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추출 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최소 2~3개월 걸리던 데이터 검증 기간을 수일 내로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 C&C 방수인 Digital ESG그룹장은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은 국내 수출 기업들이 EU 시장으로 빠르게 진출하기 위한 패스트 트랙이 될 것" 이라며 “우리나라 수출 기업들이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디지털 ESG 경쟁력을 갖추어 규제 대응 뿐만 아니라 수출 시장 개척에 유리한 고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글래스돔코리아 함진기 대표는 “글로벌 제조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탄소배출 관리 이슈를 Real 데이터 기반의 선진화된 SaaS 기술력으로 해결함으로써 제조기업들의 글로벌 규제 대응 및 손쉬운 ESG 경영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빠르고 안정적인 제3자 검증을 지원하여 유럽에 수출하는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고 덧붙였다.
글래스돔코리아 및 SK C&C는 지난달 독일에서 개최된, 제조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하노버 전시회에서 실증 장비와 데모 영상을 통해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을 선보였으며, 글로벌 유수 기업들의 높은 관심과 함께 플랫폼 도입 및 사업협력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
글래스돔은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출신의 김대웅 CEO와 산업공학과 출신의 Joshua Charnin-Aker COO가 제조기업들이 겪고 있는 디지털 전환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다.
2019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했고, 2020년 글래스돔코리아를 설립하였다. 글래스돔코리아는 KAIST 원자력공학박사 출신이자, 현대중공업 R&D센터 에너지 부문 연구실장을 역임한 함진기 대표가 이끌고 있다.
글래스돔은 제조업계에 특화된 ‘소프트웨어 수직통합 최적화 플랫폼 - 글래스돔 플랫폼(The Glassdome Platform)’을 개발하여, 이를 바탕으로 B2B 시장에 두 가지 솔루션 ’글래스돔 제품탄소발자국 솔루션(Glassdome Product Carbon Footprint)’과 ‘글래스돔 제조공정운영 최적화 솔루션(Glassdome Manufacturing Operations)’을 제공하고 있다.
‘글래스돔 제품탄소발자국 솔루션’은 제조 공정상 수집된 리얼 데이터를 토대로 제품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솔루션이다. 고객사들이 EU CBAM, 배터리법 등 글로벌 환경 규제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부터 모니터링, 리포팅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고객사는 롯데알미늄, 조일알미늄과 같은 알미늄 제조사와 배터리 제조사, 자동차 부품 제조사들이다.
‘글래스돔 제조공정운영 최적화 솔루션’은 제조 공정 운영 최적화를 위한 SaaS로 한국과 미국에서 식음료 제조, 화학, 기계 등 다양한 제조 분야의 고객사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제조 현장의 다양한 PLC, 센서, 계측기 등에서 수집된 실시간 데이터와 ERP, MES와 같은 기존 시스템의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플랫폼에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게 하며, 이를 바탕으로 공정 관리나 품질 모니터링 등 공정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한 인사이트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글래스돔은 기술력과 성장가능성을 인정받아 2023년 5월 시리즈 A(Series A) 단계까지 총 860만 달러(113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2023년 10월에는 SK㈜ 로부터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
2024년부터는 ’글래스돔 제품탄소발자국 솔루션’을 통해 유럽 시장을 적극 공략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