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5-1생활권 L5블록 공공주택
스마트 턴키 방식 모둘려 주택 적용
건설산업 혁신, OSC 시장 확대 추진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27일 모듈러주택 추진 및 모듈러주택 시장 활성화를 위한 '2030 LH OSC주택 로드맵'을 공개했다.
LH는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인 세종 5-1생활권의 L5 블록에 국내 최대 규모의 모듈러주택을 스마트 턴키 방식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건설산업체계를 혁신하고 모듈러주택 시장을 위한 이번 로드맵을 수립했다.
OSC는 탈현장건설 기반으로 공장에서 주요 부재의 70% 이상을 사전 제작해 현장으로 운반·조립하는 공법이다.
스마트 턴키 방식이란 공사 설계부터 시공까지 전체 과정에 모듈러, BIM 등 스마트 건설기술을 반영해 일괄입찰하는 방식이다.
모듈러주택은 OSC 공법을 활용해 공장에서 부재의 80% 이상을 사전 제작, 현장 운반 후 설치하는 주택이다.
이로 인해 철근콘크리트 공법 대비 공사기간을 약 30% 단축할 수 있고 건설 중 배출되는 탄소 및 폐기물도 줄일 수 있다.
이와 관련 LH는 세종 5-1생활권 L5 블록에 공동주택 스마트 턴키 방식 사업을 적용해 총 45가구의 모듈러주택을 통합 공공임대로 건설한다.
이 지역은 통합공공임대 1327가구에 지상 12층 규모로 모듈러주택은 450가구가 적용된다.
LH는 모듈러주택 표준화 및 핵심기술을 도입하고자 설계 단계부터 제조사, 설계사, 건설사 등과 협업해 모듈러주택 특화 전용 평면을 적용한다.
또 층간소음 차단 성능 실증을 적용하고 모듈러주택의 강점을 살리는 장수명주택 인증도 추진한다.
LH는 이달 말 입찰공고를 시작으로 다음달 입찰 참가자격 사전심사, 8월 설계도서 접수, 9월 설계평가를 거쳐 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준공은 2027년 5월 계획이다.
이와 함께 LH는 모듈러주택 활성화 및 OSC산업을 선도하고자 이번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모듈러주택 스마트 턴키방식 및 의왕초평 A4BL 등이 모듈러주택 건설로 함께 추진된다.
LH는 과거 OSC 방식이 프로젝트 위주의 단발성 시범사업 시행으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공사기간 단축 효과가 미흡했던 점에 주목했다.
이에 LH는 로드맵으로 통해 2030년까지 공사기간 50% 단축, 기존 공법 수준의 공사비 확보 등을 목표로 한 중장기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더불어 점진적으로 모듈러·PC 주택 발주를 확대할 계획이다. 모듈러·PC 주택 발주 규모는 2025년까지 1000가구, 2029년까지 3000가구다.
이외 국내 OSC 주택시장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모듈러주택 설계 표준화, 제품화를 위한 LH 자체기술 개발 등 테스트 베드를 제공할 계획이다.
오주헌 LH 공공주택본부장은 “건설 생산체계를 현장중심에서 공장생산으로 전환하는 건설산업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설계․감리 특례, 지급자재 적용 예외 등 OSC 맞춤형 제도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스마트 건설산업 생태계 조성 기반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