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인허가 25% 확대 10만5000호
착공물량 4배 이상 늘린 5만호 추진
연 18.4조원 투자, PF사업장 매입 추진
매입·전세임대 공급, 1기 신도시 재정비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주택 물량을 대폭 확대하고 사업비 18조4000억원을 올해 상반기 조기 집행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업무계획 '5대 부문 11대 중점과제'를 13일 확정했다.
이번 업무계획은 주택 공급불안을 해소하는 등 공적기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올해 경제정책방향 및 주택공급 확대방안 등 정책과제를 추진하고자 마련됐다.
LH는 이와 관련 지역본부에 현장인력을 추가 배치하고 사업일정관리 전담부서를 신설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관리할 계획이다.
주택 인허가‧착공 확대의 경우 LH는 올해 총 10만5000가구의 주택 인허가, 5만 가구 이상의 착공을 추진한다.
인허가는 지난해 실적 8만4000가구 대비 25% 이상 증가했으며, 착공물량도 전년 대비 4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또 3기 신도시 5곳은 조성일정을 앞당겨 모든 사업지구에 1만 가구 이상을 연내 착공할 계획이다.
공공임대주택 적기 공급의 경우 매입·전세임대를 전년계획 대비 1만 가구 이상 늘어난 6만5000가구(매입 3만4000가구, 전세 3만1000가구를 공급한다.
노후도심 재정비 참여로는 1기 신도시 재정비를 추진한다. 이와 관련 LH는 지난달 1기 신도시 5곳에 ‘미래도시 지원센터’를 개관한 바 있다.
건설경기 활성화 및 안전 중심의 혁신안으로 LH는 올해 공공기관 투자계획의 29%인 18조4000억원을 투자한다. 해당 투자 분 중 65%는 올해 상반기 조기 집행할 예정이다.
여기에 부동산PF 연착륙 및 잠재위험 관리를 목표로 부사장을 단장으로 하는 전담조직을 구성한다.
이외 안전·품질 중심의 혁신을 위해 LH는 지난해 발생한 부실시공 재발 방지 및 국민신뢰 회복 관련 혁신안을 이행한다.
이를 위해 공공주택 설계·시공·감리업체 선정 권한을 외부에 이관하되, 이 과정에서 발주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할 것이라 약속했다.
또 건축설계와 구조설계의 ‘공동계약방식’을 도입하고 내·외부 전문가 참여를 통한 2단계 검증을 시행할 계획이다.
이외 LH는 공공주택 품질 제고를 위한 관련 기준 개선, 저출생·고령화 대응을 위한 실버타운 시범사업 추진, 주거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주거환경 개선 사업도 추진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올해 공공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만큼 LH는 빠르고 과감한 공공주택 공급과 투자 집행으로 국민 여러분들의 집 걱정은 덜고 경제 활력은 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