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1월 한은 통계...11조9144억원 줄어
저축은행 대출도 10년 만에 첫 감소세 전환
[이슈앤비즈 김대우 기자] 지난해 새마을금고의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이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하고, 저축은행 대출도 2011년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 이후 첫 감소세를 보이는 등 2금융권 대출이 꽁꽁 얼어붙었다.
24일 연합뉴스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총대출 잔액은 189조7331억원으로 지난 2022년 12월 말(201조6475억원)보다 11조9144억원(-5.9%) 급감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대출이 한 차례도 빠짐없이 매달 줄었고 12월에도 이런 추세가 지속된 것으로 보이는 만큼 연간 감소 폭은 더 확대될 수 있다.
새마을금고 대출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93년 10월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왔다. 연간 기준으로 대출이 감소한 것은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1998년(-6848억원), 1999년(-8322억원), 2000년(-874억원) 등 3년뿐이었다.
지난 2021년 연간 33조8221억원으로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한 데 이어 2022년에도 24조5043억원 늘어난 이후여서 지난해 감소세 전환이 더 두드러졌다.
지난해 대출이 전례 없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은 새마을금고가 가계와 기업에 대한 대출을 동시에 축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앞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을 보면 지난해 1~11월 새마을금고의 가계대출은 5조9000억원 감소했다. 이 기간 전체 대출 감소액 중 나머지 6조원가량은 기업대출(개인사업자 대출 포함)이었다는 얘기다.
저축은행 대출도 급감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상호저축은행의 총대출 잔액은 106조2555억원으로 2022년 12월 말(115조283억원)보다 8조7728억원(-7.6%) 줄었다. 이는 연간 기준으로 저축은행 사태 직후인 지난 2011년(-14조5082억원), 2012년(-17조9614억원), 2013년(-3조1829억원) 이후 첫 감소세 전환이었다.
저축은행의 경우 지난해 1~11월 가계대출 감소액이 4000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주로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전체 대출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