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은행 평균연봉·중위값 모두 1억 돌파
윤창현 의원 "금융회사 성과보상시스템 재검토 필요"
[이슈앤비즈 김대우 기자] 국내 주요 시중은행의 신입직원 채용 규모가 코로나19 이전의 거의 절반 수준으로 반토막난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주요 시중은행의 채용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신입직원 채용은 총 1662명으로, 2019년 2301명보다 27.8% 감소했다.
5대은행 신입직원 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7년 2153명, 2018년 3121명, 2019년 2301명으로 2000∼3000명을 기록했으나 2020년 1077명으로 줄었다. 이후 2021년 1248명, 2022년 1662명으로 늘고 있으나 코로나19 이전의 반토막 수준이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더불어 영업 점포가 줄어들면서 인력 수요가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은 2019년 신입직원 394명을 채용했으나 지난해 238명으로 줄었다. 신한은행도 작년 신입직원 수가 469명으로 2019년(508명)에 비해 40명 이상 줄었다. 우리은행은 신입직원 수가 2019년 739명에서 지난해 310명으로 절반 이하로 감소했고, 하나은행 신입직원 수는 같은 기간 130명에서 85명으로 줄었다. NH농협은행만 2019년 530명에서 작년 560명으로 신입직원 수가 늘었다.
다만 KB국민과 신한의 경우 신입직원과 경력직원을 포함한 채용규모는 늘었다. KB국민의 경우 작년 신입·경력직원 채용은 508명, 신한은 547명으로 2019년 각각 497명, 533명보다 소폭 늘었다. 하지만 우리(805명→411명)·하나(304명→250명)·NH농협(경력직원 채용 없음)은 경력직원을 포함해도 채용 직원 수가 줄었다.
우리은행은 올해 상반기 250명을 신규 채용했고, 신한은 올해 상반기 250명, NH농협은 500명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하나는 올해 하반기 신규 채용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규모는 미정이다. KB국민은 채용 세부 계획을 수립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윤창현 의원은 "청년들이 가장 취업하기를 원하는 금융 분야에서 '규제혁신-투자확대-더 많은 채용'의 선순환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규제개혁 과제가 속도감 있게 추진 될 수 있도록 당정이 힘을 모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5대 시중은행의 작년 평균연봉은 처음으로 1억원을 넘어섰다. 하나은행의 작년 평균 연봉이 1억1459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KB국민은행(1억1369만원), 신한은행(1억970만원), 우리은행(1억933만원), NH농협은행(1억604만원) 등의 순이었다.
작년 사상 최대 실적, 높은 물가 상승률 등을 고려한 임금 인상이라지만, 금리 상승기속 국민 빚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돈 잔치'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과도한 성과급 지급을 방지하기 위한 주주 통제 강화에 나섰다. 개별 등기임원의 보수지급 계획을 주주총회에서 설명하는 '세이 온 페이'(Say-on-pay) 제도를 추진하고, 개별 임원의 보수지급액 공시도 확대한다. 임원 보수 체계를 손질함으로써 은행권 전반에 파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복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