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한계기업의 부실위험이 커져 증권사와 캐피탈사 등의 관련 기업 여신의 부실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한국은행이 평가했다. 장기 존속 한계기업에 대한 여신취급 실태 점검 필요성도 제기했다.
한국은행은 22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그동안 하락세를 보이던 한계기업의 부실위험이 올해 3.75%로 상승 전환했다"면서 "대내외 경영여건 악화 영향으로 한계기업 비중이 올해 들어 늘어나고 이들의 부실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2021년 기준 한계기업 수와 차입금의 비중(금융보험업 등 제외한 전체 외부감사 대상 기업 대비)은 각각 14.9%, 14.8%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수준(14.8%, 15.0%)까지 줄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조달여건 악화로 인해 한계기업 수와 차입금 비중은 각각 18.6%, 19.5%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이 감안한 시나리오는 최근 1년의 기업 신용 증가율(2분기 기준 작년 동기 대비 대기업 11%·중소기업 16%)이 유지되고, 올해 평균 대출금리가 작년보다 1.4%포인트 오르는 동시에 환율·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단위 영업비용이 1% 추가되는 것이다.
이 경우 한계기업의 부실위험은 지난해 3.52%에서 올해는 3.75%(중간값 기준)로 상승 전환할 것으로 예상됐다. 부실위험이란 기업이 1년 후 부도(폐업, 자본잠식) 상태로 전환될 확률이다. 해당 확률이 5%를 넘어설 경우 부실위험기업으로 판단한다.
코로나19 발발 초기 중소기업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다소 높아졌지만, 지난해까지만 해도 기업부문 전반의 부실위험은 크게 낮아졌었다. 그러나 올해 들어 금리 상승에 따른 충격이 부실위험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이에 한계기업 비중이 높은 비은행권의 부실위험을 우려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한계기업의 비은행권 자금 의존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대내외 충격 등으로 한계기업 부실이 현재화되면 상대적으로 자본이 취약한 비은행권 중심으로 관련 부실이 금융시스템 전체로 파급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은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한계기업에 과도한 자금이 공급되지 않도록 기업 여신 심사를 강화해야 한다"며 "기업 신용을 빠르게 늘린 비은행금융기관이 자체 부실 대응 여력을 확충하도록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했다.
한계기업 차입금 규모를 보면 은행권이 68조8000억원(2021년말 기준)이고, 비은행권이 53조3000억원이다. 특히 비은행권은 한계기업 차입금 비중이 43.6%로 가장 높다. 정상기업 여신비중은 32.7%에 그치고 있다. 한계기업의 부실위험이 해당 업권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