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플랫폼 이익보다 소비자 이익 최우선으로 지속 검증"
"규제 샌드박스 운영으로 금융플랫폼, 종합 금융상품 백화점으로 도약"

사진 앞줄 왼쪽부터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예창완 카사코리아 대표, 김민정 크레파스솔루션 대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 정현경 뮤직카우 대표,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뒷줄 왼쪽부터 김병칠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변영한 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 임종윤 에임스 대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김정은 스몰티켓 대표, 이근주 핀테크산업협회 회장, 김용태 금융감독원 디지털금융혁신국장
사진 앞줄 왼쪽부터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예창완 카사코리아 대표, 김민정 크레파스솔루션 대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 정현경 뮤직카우 대표,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뒷줄 왼쪽부터 김병칠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변영한 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 임종윤 에임스 대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김정은 스몰티켓 대표, 이근주 핀테크산업협회 회장, 김용태 금융감독원 디지털금융혁신국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등 빅테크 플랫폼 관계자들과 만나 플랫폼 운영과정에서의 알로리즘 문제를 비롯해 수수료 체계를 합리적으로 투명하게 운영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 원장은 30일 오전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빅테크·핀테크 최고경영자'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상생할 수 있도록 금융플랫폼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 생활과 밀접한 플랫폼 수수료는 그간 국회 등 사회 다방면에서 문제 제기가 있었다"면서 "간편결제 수수료에 대해 공시방안을 추진중으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합리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금융플랫폼 운영과 관련해 이 원장은 "금융상품 추천의 핵심인 알고리즘이 플랫폼의 이익이 아니라 소비자의 이익을 최우선시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검증하는 등 만전을 기해 주기를 바란다"고도 했다.

또 플랫폼의 정보보호와 보안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소비자의 정보동의 철회권이 쉽게 행사될 수 있도록 해 달라고도 했다.

금융당국은 올 하반기에 빅테크와 핀테크 업체들이 대출과 신용카드에 이어 예금, 보험, P2P상품을 비교, 추천할 수 있는 규제 샌드박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이 원장은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플랫폼은 소비자의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상품을 제공하는 종합 금융상품 백화점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정현경 뮤직카우 대표, 김민정 크레파스 솔루션 대표, 예창완 카사코리아 대표,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 임종윤 에임스 대표, 김정은 스몰티켓 대표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