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 1인 가구의 셋 중 하나는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연령대는 30대가 가장 많았고 생활비는 주거와 식료품, 보건·의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1인 가구 관련 통계를 수집·정리한 ‘2022 경기도 1인 가구 통계’를 27일 발표했다. 도내 1인 가구 통계를 인구‧가구, 주거, 소득 등 8개 분야별로 정리한 자료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통계는 통계청의 인구총조사(2020)와 주택총조사(2020), 여성가족부의 가족실태조사(2020), 보건복지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2020), 경기도의 경기도사회조사(2021) 등을 재분석한 결과다.
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경기도 1인 가구는 약 140만 가구로, 전국 1인 가구의 21.2%를 차지했다. 도내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2016년 23.8%에서 2020년 27.6%로 증가했다. 연령대는 30대(19.4%), 50대(17.0%), 20대(16.9%), 40대(16.3%)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인 가구 월평균 가구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36.6%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0만원~200만원 23.9%, 200만원~300만원 20.7%, 300만원~400만원 10.7%, 400만원~500만원 4.3%, 500만원 이상 3.7%로 200만원 미만이 60.5%를 차지했다.
경기도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00만원~300만원 미만이 17.7%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300만원~400만원 미만 16.6%, 100만원~200만원 미만 16.0% 순이었다.
1인 가구는 생활비로 주거비(30.5%), 식료품비(25.2%), 보건‧의료비(20.7%)를 많이 지출했다. 경기도 전체 가구의 생활비 지출 비중이 식료품비(25.4%), 주거비(23.9%), 보건‧의료비(17.6%) 순인 것을 고려하면 1인 가구가 상대적으로 주거비와 보건‧의료비 부담을 크게 느낄 것으로 분석됐다.
1인 가구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자평했을 때 ‘좋다’가 48.1%, ‘나쁘다’가 23.3%였다. 경기도 전체 가구의 응답인 좋다 58.6%, 나쁘다 11.6%와 비교 시 1인 가구의 건강 상태가 상대적으로 나쁘다는 인식이 높았다.
노후에 대해서는 1인 가구의 66.1%가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준비 방법은 국민연금(83.1%), 예금·적금·저축성보험(37.5%), 사적연금(13.7%) 등 순이었다.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사람은 그 이유로 준비할 능력이 없다(45.9%)고 답했다. 앞으로 준비할 계획이다(24.7%), 자녀에게 의존한다(14.7%)는 답변도 나왔다.
1인 가구의 주거 면적은 40~60㎡ 이하(35.6%)가 많았다. 이어 20~40㎡(26.3%), 60~85㎡(22.8%) 등의 순으로, 1인 가구의 67.3%는 60㎡ 이하에 거주했다. 거주지 선택 시 고려 사항은 직장과 취업(42.2%), 경제적 여건(13.3%), 가족·친인척과 지인 거주(12.8%) 등의 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