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우리 기술로만 만들어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15일 제2발사대로 이송을 시작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오전 7시20분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제2발사대로 이송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누리호는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실려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체 종합조립동에서 제2발사대까지 약 1시간 10분에 걸쳐 이송된다.
누리호는 발사대에 도착한 후, 기립 준비과정을 거쳐 오전 10시 30분서 11시 사이 하늘을 향해 우뚝 서게 될 예정이다.
오후에는 누리호에 전원 및 추진제(연료, 산화제) 등을 충전하기 위한 엄빌리칼 연결과, 연료나 산화제 충전 과정에서 막히거나 샐 가능성이 있는지 파악하는 작업인 기밀 점검 등 발사 준비 작업이 이어진다.
이송과 기립 과정에서 특별한 이상이 없을 시 이날 오후 7시 이전 모든 발사대 설치 작업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누리호 발사 시각은 16일 오후 '발사관리위원회'를 통해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이날 오전에는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해 누리호에 추진제를 충전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어 오후에는 다시 한번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기술적 준비상황, 기상 상황, 우주물체와의 충돌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누리호의 발사 시각을 결정할 예정이다.
누리호 2차 발사 시각은 16일 오후 4시가 유력하다.
앞서 누리호 2차 발사가 기상악화로 안전상의 이유로 16일로 하루 연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4일 오전 비행시험위원회와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누리호의 이송과 발사를 당초 계획보다 하루씩 연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과기부와 항우연은 "나로우주센터에 강한 바람이 불고 있고 향후 더 세어질 가능성이 있어 발사대 기술진의 완전한 안전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누리호의 이송과 발사는 당초 계획보다 하루씩 연기해 6월 15일 이송, 6월 16일 발사를 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과기부는 2차 발사를 위한 준비현황과 향후 발사까지 최종 준비 작업, 발사 조건(기상, 우주환경, 우주물체 충돌가능성) 등에 대해 면밀히 검토, 발사예정일을 6월 15일로 정했으며, 기상 등에 의한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발사예비일(6월 16일~6월 23일)을 설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