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화물연대가 7일부터 안전운임제 폐지 철회를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시멘트,철강,주류 등 물류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사진=JTBC 영상화면 캡처
민주노총 화물연대가 7일부터 안전운임제 폐지 철회를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시멘트,철강,주류 등 물류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사진=JTBC 영상화면 캡처

 

[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총파업이 13일로 7일째를 맞고 있다.

정부와 화물연대는 사태 해결을 위한 4차 교섭을 진행했지만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로인해 시멘트 운송 차질로 인한 일선 건설현장의 공사 중단 우려가 커지고 포스코등 철강사가 일부 공장 가동을 중단하기로 하는 등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총파업 엿새째인 전날 파업 참여 인원은 화물연대 조합원의 약 19% 수준인 4100명이 전국 14개 지역에서 집회에 참여하며 파업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추산했다.

파업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산업 현장 곳곳에서 피해가 현실화하고 있다.

부산항은 11일 오전 10시부터 12일 오후 5시까지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지난달 같은 시간대의 4분의 1 수준(23.9%)으로 급감했고 인천항도 컨테이너 터미널의 화물 반출입량이 평상시의 10∼20% 수준으로 떨어졌다.

경기 의왕 내륙 컨테이너 기지(ICD)의 하루 반출입물량은 평상시의 1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건설업계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시멘트 출하가 막히면서 이번주부터 생산을 중단하는 공장이 나올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돼 레미콘업체들도 비상이 걸렸다.

레미콘 제조 중단으로 인해  건설현장의 공사 중단 우려가 커지는 등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철강업체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지난 7일 파업이후 매일 약 2만t의 제품을 출하하지 못한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이날 선재공장과 냉연공장 가동을 중단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와 화물연대는  전날 4차 교섭을 진행했지만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가 이날 오후 2시부터 밤 10시경까지 8시간 넘게 협상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결렵됐다.

화물연대는 결렬 직후 " ‘안전운임제를 지속 추진하고 품목 확대에 적극 논의할 것’이라는 잠정안 합의에 이르렀지만 최종 타결 직전 국민의힘이 잠정 합의를 번복해 끝내 교섭이 결렬됐다"며 "무기한 총파업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 일몰제 폐지 ▲안전운임 전차종·전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노동기본권 확대 및 산재보험 확대 등 5가지를 정부에 요구하며 총파업을 단행했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