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화물연대가 7일부터 안전운임제 폐지 철회를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시멘트,철강,주류 등 물류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사진=JTBC 영상화면 캡처
민주노총 화물연대가 7일부터 안전운임제 폐지 철회를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시멘트,철강,주류 등 물류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사진=JTBC 영상화면 캡처

 

[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민주노총 화물연대가 7일부터 안전운임제 폐지 철회를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시멘트,철강,주류 등 물류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민주노총 화물연대가 이날 0시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이날 오전 경기를 비롯한 14개 지역에서 9000여명의 조합원들이 지역별 출정식에 참여한 것으로 추산됐다.

총파업 여파로 경기 의왕 유통기지 등 일부 시멘트 공장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의 방해로 시멘트 출하가 중단되고, 현대제철 포항공장의 경우도 하루 물량 9000t(톤)의 출하가 중단되는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시멘트업계의 매출 피해는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1월 화물연대가 파업했을 당시에는 하루 평균 출하량이 최대 80%가량 급감하면서 시멘트업계의 매출 피해액이 약 110억원으로 집계됐다.

시멘트 출하 중단에 레미콘사들도 타격을 받고 있다.

레미콘 업계는 가뜩이나 최근 시멘트 대란으로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었는데 유통마저 막히면서 이중고를 호소하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하면 건설현장에도 막대한 공사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주류및 유통업계도 타격을 입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2일부터 경기 이천·충북 청주 공장의 화물기사들이 운송을 거부해 제품 출고에 차질을 빚었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안전운임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노동기본권 확대 및 산재보험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물류 대란을 막기위해 어명소 국토부 2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파업에 따른 물류 수송 차질을 최소화하도록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국토부는 지역별 비상수송위원회를 통해 부산항과 인천항 등 주요 물류거점에 군 위탁 차량 등 관용 컨테이너 수송차량을 투입했다.

국토부는 "주요 화주와 운송업체들이 집단운송 거부에 대비해 상당수 물류에 대한 사전 운송조치를 취했다"며 "항만 등 주요 물류거점의 상황을 고려하면 아직까지는 전국적으로 물류피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노조원의 불법 행위에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전국의 일부 물류거점에서는 화물연대 노조원들이 봉쇄 집회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경찰과 충돌도 빚어졌다.

울산 석유화학단지 집회 현장에서는 경찰관을 다치게 한 혐의로 화물연대 노조원 4명이 체포됐다.

경찰은 화물차주들의 정상적인 운송을 방해할 목적으로 출입구 봉쇄, 차량 파손 등의 불법행위를 강행할 경우에는 현장 검거를 원칙으로 하고, 주동자는 끝까지 추적해 처벌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