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미국 뉴욕증시는 소매업체의 실적 부진 경고에도 국채금리가 하락 여파로 3대 주요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4.36포인트(0.80%) 오른 3만3180.14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일 대비 39.25포인트(0.95%) 상승한 4160.68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13.86포인트(0.94%) 뛴 1만2175.23으로 장을 마쳤다.
이날 뉴욕증시는 약세로 출발했다.
특히 소매업체 타깃(-2.31%)이 2분기 영업마진이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한 점이 투자심리를 짓눌렀다.
타깃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률을 2% 안팎으로 전망했다. 과도한 재고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익률이 악화, 당초 예상한 수준보다 낮아져 소비 위축 우려를 낳았다.
악재속에서 반등한 가장 큰 요인은 국채금리의 하락이다.
전날 심리적 저항선인 3%를 돌파했던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하락했다. 이날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0.07%포인트 하락한 2.970%를 기록했다.
미국의 무역적자가 개선됐다는 소식도 호재로 작용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4월 무역적자는 역대 최대였던 3월 기록한 1077억달러보다 19% 줄어든 871억달러로 집계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894억달러보다 적은 수준이다.
주요 종목별로 아마존(-1.43%), 월마트(-1.20%) 등이 약세를 보였다.
백화점 체인 콜스의 주가는 프랜차이즈 그룹과 80억달러 규모의 단독 매각 협상을 시작했다는 소식에 9.54% 급등했다.
애플(1.76%), 트위터(1.44%), 마이크로소프트(1.40%), TSMC(0.77%), 넷플릭스(0.75%), 엔비디아(0.75%), 메타(0.72%), 알파벳A(0.28%), 알파벳C(0.19%) 등이 줄줄이 올랐다.
반면 쿠팡은 4.85% 하락했다.
한편 국제유가는 원유 공급에 대한 우려로 소폭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91달러(0.77%) 오른 배럴당 119.4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8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8.40달러(0.5%) 상승한 온스당 1852.10달러에 마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