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앤비즈 김하성 기자]코로나19 유행이 뚜렷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22일 오후 9시까지 중간집계치가 1만명 미만을 기록했다.
정부는 그러나 전염력이 높은 신규 변이가 국내에서도 발견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 코로나19 확진자의 7일 격리 의무를 오는 6월 20일까지 4주 연장키로 했다.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 17개 시도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9656명으로 집계됐다.
동시간대 집계에서 신규 확진자 수가 1만명 미만인 것은 지난 1월 25일 이후 117일만이다.
확진자는 수도권에서 4078명(42.2%), 비수도권에서 5578명(57.8%) 나왔다.
해외 유입을 포함한 지역별 확진자수는 경기 2488명, 서울 1213명, 경북 848명, 경남 554명, 강원 515명, 전북 479명, 대구 460명, 전남 409명, 충남 399명, 대전 386명, 인천 377명, 광주 335명, 충북 330명, 부산 312명, 제주 232명, 울산 210명, 세종 109명이다.
이날부터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올 때 입국 전 시행하는 코로나19 검사로 PCR(유전자증폭) 검사 이외에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도 인정된다.
정부는 또 지난 22일까지였던 요양병원·시설의 접촉 면회 허용 기간을 당분간 연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이날 이후에도 당분간 요양시설 면회가 가능할 전망이다.
정부는 격리해제 조치가 자칫 재유행을 앞당길 수 있다는 점에서 코로나19 확진자의 7일 격리 의무를 내달 20일까지 4주 연장키로 했다.
이상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2차장(행정안전부 장관)은 20일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현재 유행 규모는 충분히 관리할 수 있지만 "전염력이 높은 신규 변이가 국내에서도 발견돼 백신효과 저하 및 면역 회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등 일부 우려스러운 점도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헌주 중앙방역대책본부 제1부본부장(질병관리청 차장)도 이날 중대본 브리핑을 통해 "격리의무를 유지한다는 전제하에서도 면역감소 효과에 따라 이르면 올여름부터 재유행이 시작해 9∼10월께 정점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며 "격리의무를 해제한 경우에는 현재의 감소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6∼7월 반등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코로나19가 폭발적으로 확산하는 북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의심되는 신규 발열 환자가 이틀째 10만명대를 기록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3일 국가비상방역사령부 발표 자료를 인용해 지난 21일 오후 6시부터 24시간 동안 전국적으로 새로 발생한 발열 환자는 16만7650여명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 20일 오후 6시부터 24시간 동안 전국적으로 새로 발생한 발열 환자 수가 18만 6090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