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유스타트업 김하성 기자]네이버 D2스타트업팩토리(D2SF)가 8일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기술 스타트업 '모라이(MORAI)'에 후속 투자를 단행했다.
2018년 시드 투자, 2020년 시리즈A 투자에 이은 두 번째 후속 투자이다.
모라이가 이번 시리즈B에서 유치한 투자금은 총 250억원 상당이다.
한국투자파트너스가 리드했고, 현대자동차 제로원, 카카오벤처스,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 등이 공동 투자했다.
모라이는 자율주행 시스템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통합적으로 검증하는 시뮬레이션 스타트업으로, 국내 유일의 '풀스택(Full-stack)'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했다.
모라이의 플랫폼은 정밀지도(HD map) 데이터를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디지털트윈(Digital Twin)을 구축했고, 날씨, 시간 등 다양한 변수도 시나리오로 구현한 대규모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한다.
기술력도 인정받아 모라이는 네이버랩스, 현대모비스, 현대오토에버, 포티투닷 등 국내 주요 기업뿐만 아니라 대학∙연구소까지 총 100여 곳의 고객사도 확보했다. 또한 엔비디아, 앤시스, 디스페이스 등 글로벌 기업과도 긴밀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의 선행 기술 R&D 전문 자회사인 네이버랩스와의 시너지도 두드러진다 . 네이버 D2SF는 모라이의 첫 기관투자자이며, 투자 이후 네이버랩스와 모라이의 긴밀한 협력이 이어지고 있다.
네이버랩스의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인 '아크버스(ARCVERSE)'가 대표적인 사례로, 네이버랩스가 자체 구축한 고정밀 지도와 자율주행 기술을 모라이의 시뮬레이터에서 테스트하며 고도화하는 등 시너지 성과를 창출했다.
양상환 네이버 D2SF 리더는 "모라이는 뛰어난 디지털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최고의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기업으로 성장했고, 미국, 독일, 싱가포르 등 글로벌 시장으로의 성공적 진출이 기대된다"며 "특히 이번 투자를 통해 네이버랩스와의 지속적인 협력과 시너지 창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 D2SF는 단순한 투자자를 넘어 초기 기술 스타트업이 실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네이버 기술 조직과 스타트업을 이어주는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D2SF가 투자한 스타트업 중 71%가 네이버와의 접점을 찾는 데 성공해 구체적인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