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유스타트업 김하성 기자]SK텔레콤이 구내식당에 AI 기반의 ‘푸드스캔’ 기술을 적용,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생활 속 ESG’ 실천에 앞장선다.
SK텔레콤은 2월부터 ESG스타트업 ‘누비랩’과 함께 ‘AI 푸드스캔’ 기술을 활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제로 웨이스트 캠페인'을 시작했다.
유엔환경계획(UNEP) ‘음식물 쓰레기 지수 보고서 2021’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매년 10억톤의 음식물이 낭비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약 8~1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SKT는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를 통한 일상 속 ESG 실천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준비했다.
‘AI푸드스캔’ 기술은 식당 내 식기를 반납하는 퇴식구에 AI 기반의 푸드스캐너와 센서를 설치해, 음식물 쓰레기 종류와 양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푸드스캐너는 AI를 기반으로 음식 이미지를 학습해 종류를 인식하고, 센서는 음식 양을 분석한다.
SKT는 을지로에 위치한 SKT타워 내 구내식당에서 ‘AI 푸드스캔’ 기술을 적용해 매일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양을 실시간으로 분석키로 했다.
특히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AI 푸드스캔’ 기술을 통해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 발생 현황을 식사를 마치고 나오는 구성원들이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했다.
구내식당 내에 설치된 대시보드에는 잔반이 하나도 남지 않은 ‘잔반 제로’ 달성 횟수와 플라스틱 빨대 개수 및 소나무 식수 등으로 환산한 탄소절감효과를 표시했다. 지구를 캐릭터화해서 잔반 제로 횟수가 증가하면, 지구가 쾌적한 표정 캐릭터로 표현된다. 반대 경우엔 땀을 흘리는 지구가 나타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