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유스타트업 김하성 기자]SK스퀘어가 농업의 디지털 혁신 영역에도 투자를 단행,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SK스퀘어는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사) 진입을 앞에 둔 국내 최대 농업 혁신기업 그린랩스에 약 350억원을 투자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투자로 대한민국 농업을 디지털화하는데 기여하는 한편 '액티브 포트폴리오 매니지먼트 회사'라는 SK스퀘어의 지향점에 맞게 업계 선도 플랫폼 기업에 선제 투자함으로써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투자수익도 기대하고 있다.
그린랩스는 2017년 설립 이후 디지털 농업을 이끌고 있는 국내 최대 애그테크(Ag-tech, 농업+기술) 기업이다. 올해 매출액은 약 1000억원이며, 누적 투자유치 금액이 400억원에 이를 정도로 독보적인 애그테크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2020년 국가브랜드 스마트팜 부문 대상 수상, 하이서울브랜드 선정 등 우리나라정부로부터 사업성과 기술력을 두루 인정받고 있는 기업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축산 스마트팜 기업 리얼팜, 농업분야 ERP(기업 업무 프로세스 통합관리) 기업 우성소프트∙아산소프트를 인수해 빠르게 사업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그린랩스는 원스톱 서비스 '팜모닝' 앱을 기반으로 농창업, 작물재배 컨설팅, 신선마켓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농민들이 △창업 희망 시 데이터 기반의 온라인 경영 컨설팅을 받고 △작물재배에 필요한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통해 작물의 생산성을 높여 △기존 유통 구조보다 더 많은 마진을 받고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린랩스는 유니콘을 넘어 데카콘(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 시 SK스퀘어의 투자 선구안이 입증된다.
그린랩스의 올해와 내년 예상 매출액은 각각 1060억원과 4850억원으로 매년 4~5배 고성장 할 것으로 예상된다. 팜모닝 앱 가입자는 2020년 1만명, 2021년 45만명, 2022년 100만명(예상)으로 올해 이미 국내 농가의 절반을 가입자로 확보했다.
SK스퀘어는 글로벌 애그테크 분야의 성장성을 높게 보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CB 인사이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글로벌 애그테크 분야 투자 규모는 약 62억달러(7조원)에 달하며 매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모든 산업 가운데 디지털화 속도가 가장 늦은 분야가 농업임을 감안하면 애그테크 분야의 미래는 더욱 밝은 상황이다.
이번 투자로 그린랩스와 SK의 사업 시너지도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예를 들면 농산물 유통 분야에서 11번가 신선마켓과의 협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탄소 농법을 실천하는 농가가 탄소 배출권을 기업에 판매하는 서비스인 '팜모닝 카본'을 운영 중인 그린랩스와 넷제로(Net Zero, 탄소중립) 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SK가 손잡고 탄소 배출권 사업을 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협력도 가능한 구조다.
류병훈 SK스퀘어 MD(Managing Director)는 "농업의 디지털화로 사회에 기여하고 재무적 성과도 얻을 수 있는 혁신 투자"라며 "유망 벤처, 스타트업의 성장을 도와 스퀘어의 기업가치를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상훈 그린랩스 대표는 "그린랩스는 국내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의 밸류체인을 확장하고 있다"며 "이번 투자유치를 계기로 데이터 농업의 연구개발 강화, 인수합병 확대, 해외시장 공략에 힘쓸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그린랩스는 지난 17일 중국 농업기업 션라이농업과 '한중 스마트팜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션라이농업은 중국 스마트농업 선두 기업으로 중국 흑룡강성 목령시에 20만평 스마트팜 기지를 구축하고 있다. 흑룡강성은 토지면적 45만4000㎦ 규모에 달하고 경작지 총면적과 1인당 경작지 점유율 기준 중국내 1위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농경지다.콩, 잡곡, 감자, 아마, 유제품등을 생산한다.
그린랩스는 션라이농업의 중국 내 안정적인 인프라를 기반으로 중국 진출을 본격화하고 션라이농업은 그린랩스의 스마트팜 기술력을 통해 스마트팜 산업단지 개발에 속도를 낸다.
그린랩스의 스마트팜 중국 수출을 중심으로 △스마트팜 네트워크 구축 △스마트팜 산업단지 개발 △K-스마트팜 해외진출 프로그램 등에 협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