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벤처기업정책학회는 23일 중기중앙회에서 ‘코로나19 대응, 소상공인피해최소화및피해지원방안’을 주제로 소상공인포럼을 개최했다./사진=중기중앙회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벤처기업정책학회는 23일 중기중앙회에서 ‘코로나19 대응, 소상공인피해최소화및피해지원방안’을 주제로 소상공인포럼을 개최했다./사진=중기중앙회


[더블유스타트업 김하성 기자]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벤처기업정책학회는 23일 중기중앙회에서 ‘코로나19 대응, 소상공인피해최소화및피해지원방안’을 주제로 소상공인포럼을 개최했다.

이번포럼은코로나19 발생 1년이 지나면서 소상공인 피해가 장기간에 걸쳐 증가하는가운데 소상공인지원정책관련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이동주 더불어민주당의원, 한정화 중소벤처기업정책학회장, 곽수근 중소벤처기업정책학회상생협력포럼위원장, 이재원 중기중앙회 전무이사등이 참석했다.

 이재원 중기중앙회 전무이사는 인사말을 통해“소상공인이 사업전환이나 휴업, 폐업을 고려하는 비중이 코로나전에 비해 3배이상 높아졌다”며 “지난 1년간 코로나19가 소상공인에게 미친 영향과 지원책의 효과에 대한 종합적평가를 통해 지속 가능한 지원정책이 도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희 중앙대학교 교수는 첫번째 주제 발표에서 소상공인 피해 최소화를 위한 사회적거리두기방안을 다뤘다.

이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해 소상공인 피해가 가장 크다고 강조하며, 지금과 같은 사회적거리두기가 계속되면 소상공인의 피해는 정부보상으로 해결될 수 없을만큼 커질것이며  전체고용에서 소상공인의 비중이 40%인 만큼 이들이 무너지면 심각한
고용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