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유스타트업 이태영 기자] 전 세계적으로 스타트업 열풍이 불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새로운 제품, 새로운 서비스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한국 역시 마찬가지다. 사소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시작한 스타트업에서 만들어진 제품과 서비스들이 일상이 되고, 스타트업이 기업가치 1조 원을 넘는 유니콘으로 성장하자 많은 이들을 스타트업에 주목하게 했다. 하지만 아이디어만으로 무턱대고 시장에 뛰어들 수는 없는 법. 알아야 할 기본적인 스타트업 정보나 용어는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편집자 주]
◇단기목표를 통해 성장 단계로 나아간다 : 마일스톤
마일스톤(milestone)의 사전적 의미는 주요단계다. 하지만 스타트업계에서는 그 의미가 아닌 단기목표 즉, 단기적 사업계획 또는 실적 목표를 뜻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고객 확보, 우수 경영진 고용, 제품개발을 중요한 사안으로 본다면 이를 각각의 마일스톤으로 삼고 이 마일스톤들이 모여 성장단계로 진화해 나가며 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마일스톤은 초기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반드시 진행하고 거쳐야 할 단계다. 마일스톤은 명확하고 자세하며 확고해야 한다. 이는 아직 상품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 투자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자세한 목표가 중시되기 때문이다.
때론 투자 자체가 마일스톤이 될 수도 있지만, 시기별로 어떤 마일스톤을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얼만큼의 투자를 유치해야 할지 구분할 수 있어야 차근차근 성장해 나갈 수 있다.
◇ 스타트업 공개의 날, 새로운 동력을 도모한다 : 데모데이
스타트업에게 데모데이는 굉장히 중요한 날이다. 스타트업이 데모데이를 성공적으로 마치면 기대하던 투자의 유치로 이어지는 기회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데모데이는 스타트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투자자에게 발표하는 행사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성과와 문제점들을 확인하고 새로운 투자와 투자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창업 기관과 정부 기관 등에서 스타트업 육성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 혹은 특화된 데모데이 행사를 진행하곤 한다.
현재는 그 규모와 다양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데 이는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그리고 투자자로서도 스타트업과의 접점을 넓히고 기술에 기대 발전과 성장을 꾀하는 유용한 기회로 평가되고 있다.
◇실패의 결과가 승자의 전략이 된다 : 피봇
스타트업이 자신감을 가지고 내놓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에서 반응이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폐업의 순서를 밟아야 한다고 여겨질지 모르겠으나 사실 스타트업은 곧바로 비즈니스의 모델이나 사업의 성격을 바꾸는 방식을 택한다.
스타트업의 경우 자본과 시간에 한계가 있는 만큼, 단일 제품과 서비스에 집중했으나 시장 반응이 없다면 존폐의 갈림길에 처할 수도 있으므로 피봇과 같은 고객의 반응을 살피고 제품을 변경, 전략을 수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글로벌 기업 유튜브도 그렇다. 기존 영상 데이트 플랫폼으로 사업을 시작했으나 피봇을 통해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전환한 후 지금처럼 거대한 성공을 거두었다.
스타트업에게 피봇은 쉽지 않은 결정이겠지만 그만큼 유연성을 가진 기업이기에 필요시 과감한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