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탄한 국가정책과 기업 간 상생으로 스타트업 육성에 집중
- 스토리텔, 스포티파이 등 스웨덴 유니콘 기업 한국 진출, 성공여부 주목
[더블유스타트업 김수진 기자] 스웨덴은 최근 몇 년간 성공적인 유니콘 기업을 대거 배출하며, 글로벌 스타트업의 주요 허브로 급부상했다.
스타트업 하면 많은 사람들은 미국의 실리콘밸리을 연상했지만, 요 몇 년 사이에는 스웨덴 스토혹름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더욱 많아졌다. 천만 명의 적은 인구에도 불구하고 스웨덴이 미국 실리콘밸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스타트업 허브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업계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크게 ‘국가 정책’과 ‘기업 간 상생’ 두 가지를 꼽는다. 스웨덴 정부는 매년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4천억원이 넘는 자금을 지원하며 간편한 창업 절차를 적용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업에 실패를 겪더라도 개인파산으로 이어지지 않게 하는 사회 안전망을 구축해놓았다. 특히 기존 스웨덴 성공 기업들의 노하우를 신규 스타트업에 전수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인 ‘노르휀 하우스(Norrsken House)’의 운영을 통해 스타트업들의 성공적인 시장 진출을 돕고 있다.
이러한 탄탄한 국가적 시스템을 발판삼아 스웨덴의 많은 스타트업들은 유니콘 기업이 되고, 해외 진출까지 성공적으로 이뤄내고 있다.
최근 한국 시장에서도 스웨덴 스타트업들의 국내 활약이 눈에 띈다. 세계 최대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이 한국 상륙을 준비하고 있고, 북유럽을 대표하는 오디오북 서비스 또한 지난 해 한국 서비스를 론칭했다.
그 중 오디오북 스트리밍 플랫폼 ‘스토리텔(Storytel)’은 2005년 요나스 텔렌더와 욘 하우크손이 설립한 스웨덴의 대표적인 스타트업이다. 스토리텔은 차세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 각광받는 오디오북 플랫폼으로써 현재 전 세계 19개국에서 활발히 오디오북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지난 해 연말, 비영어권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에 진출한 이후 국내 오디오북 시장의 트렌드를 선점하여 빠른 속도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 또한 펼치고 있다.
스토리텔의 박세령 한국지사장은 “스웨덴과 한국은 산업 분야뿐 아니라 인적 자원을 중시하는 풍토 등 유사점이 많다“며, “스타트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스웨덴의 다양한 혁신 활동들은 한국 스타트업 계에 선도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스토리텔은 스웨덴의 스포티파이, 에피데믹 사운드와 더불어 ‘스웨덴의 3대 오디오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며 글로컬(Glocal) 전략을 바탕으로 세계 무대에서 성장 중이다. 스토리텔은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기반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서비스 저변 확대를 위해 인도, 싱가포르에 이어 2019년 2월 한국에 지사를 설립했다. 스토리텔은 나스닥 유럽 상장 회사로 8월 현재 시가총액은 13억 3천만 유로(약 1조 8700억 원)에 달한다.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알려진 스포티파이(Spotify) 역시 스웨덴 스타트업이다. 스포티파이는 창업자 다니엘 에크가 ‘저작권을 지키면서도 동시에 세상의 모든 음악을 무료로 들을 수 있게 하는 사업’을 구상하면서 2008년에 탄생했다.
스포티파이는 음악 중간에 나오는 광고를 듣는 사용자에게 무료 음원을 제공하고, 광고 없이 음악을 들으려는 사용자에게는 월 10유로(약 1만 3000원) 정도의 멤버십 사용료를 받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이러한 방법에 대해 반신반의하는 음반사가 많았으나 각고의 노력과 설득 끝에 소니, 유니버설, 워너 등 대형 음반사와 정식으로 계약을 맺었고, 수백만 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시작하자 스포티파이는 애플의 아이튠즈를 누르고 금세 모바일 시장을 점령했다.
현재 스포티파이는 4천만 개 이상의 음원을 제공하며 2019년 10월 기준으로 사용자는 2억4천800만명, 유료 회원은 1억1천300만명에 달한다. 올해 1월 국내에 지사를 설립하며 한국 시장으로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글로벌 진출에 성공한 스웨덴 스타트업 하면 ‘스카이프(Skype)’를 빼놓을 수 없다. 최근 코로나 19의 여파 이후 더욱 주목 받고 있는 대표적인 화상 회의 서비스 ‘스카이프’는 스웨덴의 첫 번째 유니콘 기업으로 유명하다.
스카이프 창업자는 처음 ‘카자(Kazaa)’라는 이름의 파일 공유 서비스로 시작했으나 재정악화를 극복하지 못하고 폐업했다. 그러나 이때 개발한 공유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영상통화 서비스 ‘스카이프’를 탄생시켰다.
스카이프는 2003년 4명의 엔지니어와 사업가들이 설립한 이후 2년 만에 미국 이베이가 26억 달러(약 2조 7800억원)에 매수하며 엄청난 기업 가치를 증명했다.
이 외에도 캐주얼 게임의 대표 주자 ‘캔디크러시사가’를 만든 ‘킹(King)’을 비롯해 게임계의 새로운 역사를 썼다고 평가 받는 샌드박스 건설 게임 ‘마인크래프트’를 만든 ‘모장(Mojang)’ 등의 기업이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탄생했다.
sjkimcap@w-startup.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