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시스템 개선해 에너지 효율·안전성 증진
개별난방 '캐스케이드 보일러', 지역난방 'AI 스마트 통합배관'
입주민 연료비 부담 저감, 안전성 강화…탄소중립 실현 기대

/사진=한국토지주택공사
/사진=한국토지주택공사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11일 공공주택 개별난방에 '캐스케이드 보일러 시스템', 지역난방에 'AI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공공주택 입주민의 연료비 부담을 덜고,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난방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 난방시스템을 개선하고자 추진됐다.

개별난방 구조에 적용되는 이번 캐스케이드 보일러 시스템은 건물 내 기계실에 여러 대의 보일러를 집약 설치한 뒤 필요한 만큼의 열만 자동으로 생산하는 중앙집중형 고효율 시스템이다.

LH에 따르면 중앙집중 방식으로 기존 방식(개별 설치) 대비 약 20% 에너지 효율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세대 내 보일러실이 사라져 주거 공간이 넓어질 뿐 아니라 일산화탄소 중독이나 화재 위험 등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일부 보일러가 고장 나더라도 다른 보일러가 자동으로 보완 운전해 한겨울에도 안정적인 난방 공급이 가능하다.

적용 대상은 장기 공공임대 50㎡ 이하 단지 중 300세대 이상 단지로, 올해 신규 사업계획 승인 신청 지구부터 설계 여건 등을 고려해 적용된다. 

지역난방에는 AI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을 적용한다.

LH에 따르면 기존 지역난방 공동주택은 난방용과 온수용 배관이 분리된 구조라 열손실이 크고 유지관리가 복잡했다.

이에 LH는 난방과 온수 공급 배관을 통합하고, AI를 활용해 온도와 유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을 도입한다.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은 세대별 열수요를 예측해 최적의 열공급을 지원하며, 열손실 최소화로 약 9%의 에너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해당 시스템은 다음해 신규 사업계획 승인 신청 지구부터 지역난방에 순차 적용될 예정이다.

오주헌 LH 공공주택본부장은 “입주민이 연료비 부담 없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생활을 이용하실 수 있도록 공동주택 난방시스템을 개선했다”라며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품질 주거환경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