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맞춤형 지원 사업 추천하고, 사업계획서 초안도 작성

[이슈앤비즈 강 훈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지원 정보 조회와 각종 행정 신청 등을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을 구축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한성숙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한성숙 장관, 소셜벤처 활성화 간담회/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한성숙 장관, 소셜벤처 활성화 간담회/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이에 따라 중기부는 현재 이원화된 지원사업 정보 제공 채널인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의 서비스를 '기업마당'(가칭)으로 통합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중앙·지방 정부의 2천700여개 지원사업 공고를 일괄 제공하고, 21종의 확인·인증서를 통합 발급할 예정이다.

또 플랫폼 로그인만으로 중기부의 37개 신청 채널과 타 부처 공공기관까지 원스톱 지원사업 신청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연계한다.

현재 운영 중인 기업마당은 정책 정보와 공고 확인, 중소벤처24는 지원사업의 신청과 접수 등에 각각 특화돼 있어 불편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중기부는 또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맞춤형 지원 사업도 추천할 예정이다.

AI가 기업의 업종과 지역, 수혜 이력 등을 학습해 기업별 최적화된 지원사업을 자동으로 추천하는 방식이다.

수출기업에는 맞춤형 수출국가·관세 정보를, 소상공인에게는 맞춤형 상권 분석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등 특화 정보 지원도 강화한다.

각종 사업 신청을 위한 필요 서류도 절반 수준으로 간소화한다. 현재 지원사업 신청 시 기업이 직접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평균 9개이지만, 이를 4.4개로 절반 이상 감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등 행정기관 발급 서류는 행정정보공동이용 등과 연계해 지원기관이 자체적으로 확보하며, 내년까지 연계율을 43%에서 96%로 확대한다.

또 사업자등록번호와 키워드만 입력하면 AI가 기업 정보, 우수계획서 등을 학습해 맞춤형 사업계획서 초안을 제공함으로써 서류 작성 부담을 낮추도록 한다.

이어 불법 브로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3개 지방 중소벤처기업청과 7개 산하 공공기관에 제3자 부당개입 예방·신고 채널을 운영한다.

특히 AI를 활용해 브로커가 대리 작성한 사업계획서를 적발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평가위원의 전문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관 협력형 창업지원 프로그램인 팁스(TIPS)와 같이 벤처캐피탈(VC) 선투자·추천 방식이나 글로벌 대기업이 파트너 스타트업을 직접 선별하는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또 기술평가 빅데이터를 학습한 개방형 기술평가 플랫폼 'K-TOP'을 혁신기업 지원사업 평가에 적용하고, 은행 대출 심사에도 연계해 원스톱 기술금융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한 장관은 "이제는 공공도 서비스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며 "중소기업 지원체계가 사람 중심의 방식으로 직관적이고 친숙하며 손쉬운 시스템으로 개선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