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쿠팡
/사진=쿠팡

 

[이슈앤비즈 박현정 기자] 쿠팡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 7개 인구감소지역에서 직매입한 과일이 6600t(톤)을 넘었다고 23일 밝혔다.

폭염·폭우 등 기후변화를 비롯해 경기침체 위기에 처한 지역 농가들에서 대규모로 과일을 사들이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끌고 있다는 평이다. 쿠팡은 사과·참외·자두·수박·딸기 등 30여 가지 과일을 이들 지역에서 매입해 전국 새벽배송을 확대했다.

쿠팡은 인구 위기를 겪는 이 지역들과 과거부터 업무협약(MOU)을 맺거나 협업을 강화해 과일 매입을 확대했다. 7개 지역에서의 과일 매입량은 2022년 3430톤, 2023년 5610톤, 지난해 5870톤을 기록했는데, 올해는 연말까지 7000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과일 매입규모가 커진 이유는 쿠팡의 물류 인프라가 도서산간·인구감소지역으로 확대되면서 더 많은 지역 농가의 과일을 매입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또 고령군(수박), 의성군(사과), 영암군 등과 판로 확대 MOU를 맺거나 협업을 강화하면서 매입이 늘었다.

경북 고령에서 과일 매입 규모는 49톤(올 1~9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배, 전남 영암∙함평도 55톤으로 6배 이상 뛰었다. 무화과를 주로 거래한 이들 지역은 지중해를 닮은 서남단 기후 특성으로 전국 무화과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곳이지만 온라인 판로 확대는 초기단계에 있다.

이밖에 경북 영천도 같은 기간 대비 약 90% 늘었다. 영천은 포도·샤인머스켓·멜론 등이 400톤 이상, 의성 복숭아·자두는 600여톤 팔렸다. 참외로 유명한 성주(3200여톤), 충주 사과·복숭아(2300여톤) 등도 매입 규모가 늘어났다.

전남 함평의 무화과 농가 '함평농부'는 지난해 쿠팡을 통해 첫 온라인 직거래를 시작했다. 20년간 무화과를 재배해 온 채상희 대표는 "쿠팡의 직매입 확대로 판매량이 전년 대비 약 2배로 늘면서 침체됐던 현장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고 말했다.

경북 고령군 우곡수박은 농가 수익이 낮은 기존 포전(밭 단위) 거래 대신 쿠팡을 통해 직거래를 처음 도입, 안정적 매출 확보가 가능해졌다.

신혜경 고령군청 농업정책과 유통가공팀장은 "고령군 수박 재배 면적은 최근 5년간 약 30% 감소하며 수박 농가 명맥이 단절될 위기에 놓였는데, 쿠팡과의 직거래와 직매입을 계기로 공선출하회도 결성하는 등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출발점이 됐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개호 국회의원(담양·함평·영광·장성)은 "쿠팡의 과일 및 농산물의 직매입 확대로 가격안정에 대한 불안감이 없이 농가가 안심하고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며 "생산 농가는 쿠팡의 직매입 확대 정책 덕분에 걱정을 덜 수 있으며, 농가들은 가격 안정성 확보로 다음 농사도 안심하고 준비할 수 있는 효과를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