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송전철탑 이설·지중화 사업' 실시…42개 공공주택지구 대상
총 506기 철탑 이설…4조원 규모 사업 추진 임시·본 이설 병행 추진 송전선로 조기이설 하남교산 3천호 조기공급…'3D 경관시뮬레이션’ 도입 주민친화형 도시전력시설물 설계 함께 추진
[이슈앤비즈 배대은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전국의 주요 송전철탑을 대상으로 '이설·지중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LH는 3기 신도시를 비롯한 전국 42개 공공주택 지구를 대상으로 송전철탑의 이설·지중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은 총 148.2km 구간, 이설대상 철탑은 506기로 전체 사업비 규모는 약 4조원 규모다.
LH는 공기단축 및 주택공급 조기화를 위해 송전선로 이설시 ‘임시이설’과 ‘본이설’을 병행 추진하는 ‘투트랙 전략’을 도입한다.
LH에 따르면 기존 송전선로 이설은 '협의→설계→시공' 등이 순차적으로 진행돼 평균 8년 이상이 소요됐다.
이에 이번 투트랙 전략을 도입해 임시이설을 병행할 경우 평균 2~3년의 공기단축이 가능해진다.
해당 방식은 현재 ‘용인반도체 국가산단’과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에 우선 적용 중이다.
이에 LH는 향후 전국 주요 사업지구로 이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LH는 하남교산 지구의 경우 "송전선로 지중화 전 임시 이설을 통해 토지사용시기는 최대 36개월 단축, 주택공급(3000호) 또한 다음해부터 조기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 전망했다.
또 다음해년부터 도시 설계단계부터 주민 시야와 조망권을 고려한 전력 인프라 설계를 가능하도록 하는 ’전력시설 3D 경관시뮬레이션‘을 도입한다.
해당 시뮬레이션은 입주자가 창문 밖으로 보게 될 전력시설 위치를 입체적으로 구현해 입주민을 고려한 최적의 송전설비 위치와 차폐 방안 등 분석이 가능하다.
박동선 LH 국토도시본부장은 “송전철탑 이설은 단순한 전력 사업이 아닌 국가 주거정책을 뒷받침하는 필수 인프라 사업으로, 국민 주거안정과 도시의 미래 경쟁력을 함께 높이는 일”이라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지자체, 한국전력 등과 긴밀히 협력해 주택공급 조기화를 목표로 차질없는 공공 인프라 구축을 이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