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LG전자 신용등급 아웃룩 3년 만에 개선
주력사업 견조·인도상장 현금·LGD 실적개선 효과
[이슈앤비즈 박소란 기자] 국제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3년 만에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고 22일 밝혔다.
LG전자에 따르면 S&P는 전날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BBB 스테이블(안정적)에서 BBB 포지티브(긍정적)로 변경했다. S&P가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조정한 것은 2022년 10월 이후 3년 만이다.
앞서 지난 2월에는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가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Baa2, 스테이블(안정적)에서 Baa2, 포지티브(긍정적)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S&P가 신용등급 전망을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한 것은 현재 LG전자의 사업구조와 재무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향후 1~2년간 재무 지표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신용도를 높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는 뜻이다. 당분간 현 상태를 유지한다는 의미의 '안정적' 등급에 비해 긍정적인 평가다.
S&P는 "LG전자는 미국 관세인상 등 어려운 환경 가운데 주력 사업의 견조한 실적,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현금 유입, 지분 36.72%를 보유한 LG디스플레이의 턴어라운드가 주요 성장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가전 사업은 거시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성을 기반으로 주요 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냉난방공조 사업은 데이터센터용 냉각 설루션 사업과 고효율 설루션이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장 사업은 100조원에 달하는 수주 잔고에 더불어 수주 믹스 개선 등이 이뤄지며 수익성을 크게 개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LG전자가 LG디스플레이의 경영성과를 지분법손익으로 반영하는 가운데, 관계사 LG디스플레이의 실적 개선세가 LG전자 신용등급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S&P는 기대했다.
인도법인 "현지 증시 상장에 따른 1조8천억원 현금 유입 역시 부채 감소 등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고 말했다.